|
표기의 체계
2-1. 음독자
2-2. 훈독자
2-3.음가자, 훈가자
3. 차자표기의 발달과정
3-1.한자의 정착
3-2. 고유명사 표기와 음절에 대한 인식
3-3. 서기식 표기=서기체
3-4. 이두
3-5. 구결
3-6. 향찰
4. 고유명사의 표기
5. 誓記式 표기와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재 전하고 있으며 훈민정음 이전의 국어사 자료는 이 차자표기법에 의하여 정착된 것이 그 주종(主宗)을 이룬다. 이와 같이 오랜 동안 사용되어 오면서 차자표기는 여러 변천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그 사용 범위를 중심으로 이두, 향찰, 구결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향찰로 표기되지는 않았다는 점이 무제지만 오로지 구전으로만 전해졌다고 보기는 어렵고, 향찰표기가 있었다고 인정하는 것이 무리는 아니다. 그런데 사뇌가 본래의 격식과는 아주 달라진 데가 있으니 바로 감탄구가 놓인 위치이다. “니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7.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차례 -
1. 요약
2. 차자표기
3. 음차와 훈차
4. 이두
5. 향찰
6. 구결
7. 향찰, 이두,구결의 차이점
8. 현재 학교문법이나 일반적인 통설의 내용
9. 견해 및 감상
10.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를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6세기경에 문장의 종결어미 등의 형태부를 표기하기에 이르렀다. 7세기 들어와서 경어법과 시제의 선어말을 표기하였으며 향찰표기와 같은 전면적인 신라어의 차자표기는 8세기에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시도되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