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같은 일화가 전한다.
“허형은 큰형에 비하여 풍모가 떨어지고 얼굴은 마마를 앓은 흔적이 있어서 아버지 허련으로부터 따돌림을 받았고, 손님들에게 머슴으로 소개될 정도였다. 그래서 허형은 화가로 성장할 만한 계기가 없었으나 큰형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3.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허련과 장승업] 『소치 허련』학연문화사 2002
▶ 최열, [장승업 형식주의자의 낭만과 민족정신] 『화전』청년사 2004
▶ 한국미술오천년편찬위원회, 『朝鮮朝繪畵篇』, 한국사전연구사 1995 제1장 머리말
제2장 장승업의 삶
1절 - 출생(出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허련은 18세기 남종화풍을 유지하였다. 특히 이들은 서울에서 활동하면서 화풍이나 회화세계를 이룬 경우에도 새로운 유행이나 화풍보다 전통화풍을 고수하였다는 데서 그 성격이 더욱 확실해진다.
셋째로는 전통성과 보수성에 의해 자극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허련과 장승업의 두 계보 확립을 들 수 있다.
조선후기나 말기 그림 중에서 또한 우리의 관심이 되는 것은 민화이다. 민화는 한국적인 특성을 정통회화보다도 훨씬 강렬하게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국내외에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게 사실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허련, 장승업 두 계보의 확립
우리나라 회화사에서 조선왕조 말기가 차지하는 큰 비중과 의의는 그것이 현대화단을 위한
하나의 바탕이 되었다는 점에 있다. 특히 소치 허련과 오원 장승업은 이 점에서 더욱 중요
시 된다. 그들은 각기 자기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