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소심이 복심구조 될 염려가 있다. 절충설은 당사자 평등주의에 반한다. 신실질적불복설은 상소이익을 넓게 잡은 것도 문제점이나 예외인정 하는 형식적불복설과 사실상 결론이 같아져 새로운 학설로 평가하기어렵다. 따라서 형식적 불복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8.12.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식적불복설). 우리나라의 통설, 판례인 제한적 긍정설의 입장에서는 명시적 일부청구의 경우에는 원고가 별소로 잔부청구를 할 수 있으므로 청구취지의 확장을 위하여 상소를 인정할 필요가 없으나, 묵시적 일부청구의 경우에 원고는 뒤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에 따라 결론이 달라진다.
(2) 학설 및 판례
①형식적 불복설
원심에 있어서의 당사자의신청과 그 신청에 대하여 행한 판결의 결과를 형식적으로 비교하여, 즉 신청과 판결주문을 비교하여 판결주문이 신청보다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불리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복방법으로 한가지 아쉬운 것은 우리 팀의 모든 멤버들은 같은 생각으로 상소의 요건 중 하나인 상소의 이익이 있는 것에서 학설과 판례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판례는 당사자간의 같은 목적물만을 원하지만(형식적 불복설) 학계에선 실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만이 남게 된다. 역흡수병존설은 그 자체 독립하여 이루어지는 경정처분의 형식적 측면과 당초처분을 전제로 하고 당초처분과 결합하여 하나의 납세의무를 확정하는 경정처분의 실질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이론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5.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