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기호발설에 대해 기대승과 그후의 이이(李珥 : 1536~84)는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질지성 속에 갖추어 있는 이가 기를 타고 발한다는 점에서 그 유래하는 바가 같으며, 다만 발해서 순선한 것만을 가리켜 사단이라고 한다고 했다. 그들은 이황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0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이 옳음을 논증하는데 평생을 바쳐 노력했는데 이는 당시에 예송문제로 격화된 당쟁과 무관하지 않은 듯하다. 우암이 48세때 柳稷등이 율곡의 이기일물설은 주자에 어긋난 육상산의 도기론에 가깝고 율곡이 ‘주자가 참으로 이기호발이라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새로운 이론을 제기하여 성리학의 다양한 발전이 전개되었다. 퇴계의 호발설(互發設)에 따른 이기이원론적 이론은 기로부터 이가 발동의 주체로서 독자성을 확보하는데 특징이 있는 만큼, 주리론의 성격을 명확히 정립시켜 나갔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떠나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이(理)는 절대적으로 선하여 존귀하고 기(氣)는 선악이 함께 내재하여 비천하다. 근본주의적이며 이상적
이와 기는 섞이지 않지만 떨어지지도 않는다. (섞이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
사단(四端)은 이가 발한 것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3.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설’에 가지는 의문은 무엇이었는가?
4. 우계와 율곡의 논쟁이 조선 성리학에서 가지는 의의와 평가는 무엇인가?
5. 성리학의 인성론은 지식이면서 실천이라는 둘이면서도 하나인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나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