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이(理)는 절대적으로 선하여 존귀하고 기(氣)는 선악이 함께 내재하여 비천하다. 근본주의적이며 이상적
이와 기는 섞이지 않지만 떨어지지도 않는다. (섞이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
사단(四端)은 이가 발한 것이며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3.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후기 경학사상연구
과학원 철학연구소, 정다산 연구, 한마당
목영해 외(2004), 교육의 역사와 철학, 교육과학사
이범직(1979), 조선전기 유교교육과 향교의 기능,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정대환(1992), 조선조 성리학 연구, 강원대학교 출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치한다. 그리고 8세 이상의 아동은 신분을 가리지 않고 초등교육기관인 제에 입학하게 함.
참고문헌
○ 김경화(2002), 아동중심 교육론과 전통적 교육론의 통합적 이해
○ 김호일, 한국의 향교, 대원사
○ 이만규(1991), 조선교육사, 기획출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학문 경향은 이이와 1572년부터 6년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을 논한 왕복서신에 잘 나타나 있다. 이 서신에서 이황(李滉)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지지,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비판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5.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의 전기의 교육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고려시대의 것들을 계승하여 더욱 발전 시켜 나아가는 형태였다. 조선중기가 들어서면서 경험과 능력위주 등의 좀더 실용적인 학문의 요구에 의해 신분이 철폐되면서 교육의 기회가 균등하게 주어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