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혹이십환 진타연하 식후 혹 온수량수소허 송하 역득.
매번 15환이나 혹은 20환을 침으로 뱉어 연하하니 식후나 혹은 따뜻한 물이나 찬물 조금으로 연하하면 또한 좋다.
此近而奇[偶] 制之緩
차근이기우 제지완.
(짝, 동료, 배우자 우; -총15획; ou)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 있고, 그 인후가 건조하고 벌레가 그 후두를 먹음은 혹이 된다.
上脣에 有瘡하고 其聲이 啞하니 殺人甚急이라.
상순에 유창하고 기성이 아하니 살인심급이라.
위 입술에 종기가 있고 그 소리가 벙어리가 되니 사람을 죽임이 매우 급하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혹실드,, 이가람 역, 이매진, 2009-12-1)를 읽고, 우리 사회에서 성적 차별과 다른 많은 종류의 차별이 어떤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면서 논하였다.
2007년 말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드시 좋다.
傷寒 則面赤 鼻壅塞而乾 傷風則鼻流淸涕而已.
상한 즉면적 비옹색이건 상풍즉비류청체이이.
상한병은 얼굴이 붉고, 코가 막히고 건조하고 상풍은 코에서 맑은 콧물이 흐를 뿐이다.
內經云 鼻者 肺之候 肺氣 通於天.
내경운 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熱也
당내허이상지자 조열야.
안이 허약하여 손상된 것은 조열이다.
或因口吸風寒之氣 鬱其陰火
혹인구흡풍한지기 울기음화.
혹은 입으로 풍한의 기운을 흡입하여 그 음화를 울체하게 함이다.
使咽膈不通 其吸入之氣 欲入爲膈上衝之火 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