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間) ’도 이러한 의미를 한자어로 표현한 것이기도 하다. 이렇듯 뒷간이라고 부른 것은 화장실이 살림채에 붙어 있지 않고 뒷마당에 별채 형태로 따로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뒤에 따로 떨어진 측간’이란 뜻으로 ‘뒷간’이라 부른 것이다.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장실의 등장
3. 중국의 화장실 변화
1) 호자(虎子)의 유래
2) 중국의 변기
3) 중국 왕실의 변기
4. 우리나라의 화장실 변화
1) 화장실 명칭의 변화
2) 측간의 유형
3) 요강의 변화
4) 궁중에서 사용한 뒷간
5) 매화(梅花)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9.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장실의 작은 역사, 들녘
박윤남(2001), 화장실 문화의 변천, 아름다운 작은공간, 미소공, 통권15호, 한국화장실문화협의회
송재승(2000), 공중화장실의 개선방향을 위한 대안적 방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편집부, 전봇대에서 화장실까지, 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역사가 그리 길다고 할 수는 없겠다.
화려한 궁전에서 요란한 연회를 열었던 마리 앙뜨와넷 시대에도 화장실이 변변치 못 해 귀족 부인들이 노상방뇨를 했고 사람들은 통으로 오물을 받아 강에 뿌렸다.
우리나라에서는 화장실은 \'뒷간\'이라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뒷간 : 남여공용으로 집과 멀리 떨어진 곳에 주로 가건축 시설물며, 수거요령은 지게로 퍼 운반하여 농사에 거름으로 사용했다. 화장지는 시멘트 포장지, 신문지, 짚, 풀잎 등 이고, 공중화장실은 없다. 1. 화장실의 역사
2. 인간공학과 화
|
- 페이지 4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3.10.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