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다완의 기원적 요지와 양식 고찰, 국립중앙박물관
* 구태훈(2008), 일본에서 꽃핀 조선의 도자기 문화 :임진왜란 당시 납치된 조선인 도공 이야기, 한국역사연구회
* 대한무역진흥공사(1985), 일본의 도자기산업
* 이현정(2008), 현대 일본 다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다완(고려차완)
Ⅳ. 조선다완
1. 井戶(이도)다완, 정호다완
2. 三島(미시마), 분청다완
3. 熊川(고모가이), 웅천다완
4. 刷毛目(하케메) 쇄모목다완(刷毛目茶碗), 귀얄분청다완
5. 堅手(가다테), 견수
6. 玉子手(다마고데), 옥자수
7. 割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다완
일본에서는 흔히 조선시대의 다완을 고려다완이라고 한다. 고려청자로 대표되는 수준 높은
우리의 도자기 문화를 총칭하는 것에서 연유한다. 여기에는 일본인들의 조선다완에 대한 매
력과 경의의 뜻이 담겨져 있다. 정호다완
-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다완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조선 시대의 일상잡기를 다기로 사용한 미시마(三島)다완, 이도(井戶)다완, 코히키(粉引)다완, 카타데(堅手)다완, 아마모리(雨漏)다완, 코모가이(熊川)다완 등이다. 또 하나는 일본에서 조선에 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완
1) 우리나라 다완의 발전사
- 삼국시대 : 금은동기, 석기, 유리 등 당과 유사 신라 안압지출토
- 신라 : 손잡이잔토기와 백토분장다구
- 고려 : 순청자, 상감청자(흑, 백, 흑백), 녹청자, 황자(철화), 흑유자 등
형태 : 구, 완, 통형, 반통형, 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