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냉면의 발생배경과 남한에서의 토착화
1. 냉면의 발생
1.1. 평양냉면의 발생
1.1.1. 자연적 배경
1.1.2. 사회․문화적 배경
1.2. 함흥냉면의 발생
1.2.1. 자연적 배경
1.2.2. 문화적 배경
2. 냉면의 남한에서의 토착화
2.1. 평양냉면
2.1.1. 전쟁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즐기시면 좋습니다.
평양냉면에는 고명으로 오이채, 배채, 삶은 계란, 편육등이 들어가게 됩니다.
관서(평양)사람들은 냉면을 먹을 때 목을 타고 넘어가며 배를 꽉채워주는 시원한 육수의 맛을 즐기고 관북(함흥)사람들은 가늘게 씹히는 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냉면육수용 동치미이다.
·새우젓 또는 까나리 액젓 동치미 : 평양식 냉면육수용 동치미로서 맛이 개운하고 깔끔하다.
·과일즙과 마른 홍고추물 동치미 : 함흥식 냉면육수용으로써 달달하고 약간 매콤하며 시원하다.
▶동치미 담글때의 유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함흥(咸興)
‘함흥’과 관련된 단어로는 ‘함흥냉면’과 ‘함흥차사’가 있다. ‘함흥차사’는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아니하거나 늦게 온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조선말>(1992·2007)에도 등재되어 있다. 다만 <조선말>(1992)에서는 ‘함흥
|
- 페이지 44페이지
- 가격 101,000원
- 등록일 2020.08.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함흥 냉면은 홍어, 가자미 등의 생선회를 맵게 비벼 먹기도 한다. 다대기라는 말도 이 고장에서 나온 말로 고춧가루에 갖은 양념을 넣어 만든 것을 말한다. 음식의 모양이 크고 장식이나 기교는 적다.
◎대표적인 함경도 음식
함흥냉면, 강냉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07.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