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Anthony, J. L., Francis, D. J. (2005).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4(5), 255-259.
Herron, J. (2008). Why phonics teaching must change. Educational Leadership, 66(1), 77-81.
McCarthy, P. A. (2008). Using sound boxes sy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Education, 1(2), 93-107.
Miller, P. (1997). The effect of mode of communication on the development of phonemic awareness in prelingually deaf stud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 1151-1163.
Nielsen, D., & Luetke-Stahlman, B. (2002). Phonological awareness: One key to the r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사소통 장애(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3) 의사소통 장애의 교육방법
(1)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
(2) 말소리 장애(Speech sound disorder, SSD)
(3) 말더듬 장애(Stuttering)
(4)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3. 결론
4. 참고문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8.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 2. N. Y.: Pergarmon.
Zigmund, N., & Baker, J.(Eds.)(1995).An exploration of the meaning and practice of special education in the context of full inclusion of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ies: Special Issu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9, 75-87. Ⅰ. 서
|
- 페이지 4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3.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현상 발음 분석 = A study on improve the various levels of Korean Pronunciation For Chinese students\' Korean Phonological Phenomenon 학위논문(석사) -강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1. 서론
2. 본론
1) 음운현상과 교육
3. 결론
- 참고 문헌 -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9.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