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acraments as God\'s Self Giving”」, (예배와설교아카데미, 2006)
월레스 로널드 S. 지음 정장복 옮김. 「칼빈의 말씀과 성례전」,(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스투키 로렌스 훌 , 김순환 옮김,「성찬, 어떻게 알고 실행할 것인가」, (서울: 대한 기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9.0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 세례의 신학적 의미
첫째, 세례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람이 되는데 필요한 결정적 사건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공적으로 시인하고 그와의 연합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성례전이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와 연합된 새로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9.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Sacramental Controversy: What are the Sacraments?)
여덟 번째 논쟁, 성례론 논쟁2: 성찬은 무엇인가? (Sacramental Controversy: What is the Lords Supper?)
아홉 번째 논쟁, 종말론 논쟁: 하나님 나라란 무엇인가? (Eschatological Controversy: What is the Kingdom?)
Ⅲ. 오늘날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2.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Sacramentary in New Testament Studies. New York.1908.
_________. New Testament Essays. N.Y.,Doubleday & Comp. 1968.
_________. The Anchor Bible The Gosprl According to John New York : Doubleday & Company Inc. 1983. p.CXVI.
_________. The Gospel According to St.John. New York Doubleday and Co. 1966.
|
- 페이지 6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Sacrament. Pietism shifted its theological emphasis from Justification to Rebirth, which meant change in existence as well as new creation. Church was regarded as congregation of born-again new beings. The Pietistic views on the Sacrament were quite traditional, though they put more emphasis on pers
|
- 페이지 118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