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음계로 1옥타브 올라가면 2배가 된다는 것은 맞아 떨어졌다.
그러나 단계별로 올라가는 진동수에는 등비수열을 갖추지 않았다. 12음계에서 1옥타브 올라가서 1배가 되면서 등비수열을 이루려면 한음 올라갈 때, 배 만큼 늘어나야 하는데, 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금주(1990). 음악교육의 기초, 서울:삼호출판사 1. 음계(scale)의 정의는?
2. 음계의 종류
● 온음계
● 반음계
● 온음음계
3. 12음 음계(Twelve-tone sacle)
4. 5음 음계(Pentatonic sacle)
5. 음계의 구조와 계명(Solmisation)
6. 교회선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4.0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평균율은 등비수열의 관점에서 음계를 조직하는 원리라고 볼 수 있다. 조직 원리는,
최초 개방현의 길이(L)를 1로 보면 그보다 한 옥타브 높은 음이 나오는 길이는 1/2이다. 일정 비율 R을 곱해가며 반음씩 올리는데 이를 12음계의 각 현의 길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
1) 음계의 차이점
우리의 음계인 12율은 서양의 12음계와 비슷할 뿐 똑 같지는 않다. 한 옥타브를 1,200센트(cent)로 하여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이 음률론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서양 음악의 평균율 음계의 5음계(Pentatonic Scale)와 우리 음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계는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점은 우리의 민요에서도 마찬가지로 우리의 전통적인 5음계와 서양의 12음계의 절대음이 다르므로 민요 <아리랑>을 피아노로 연주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우리가 수용한 일본의 엔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1.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