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3천DWT×7, 1천DWT×4)
하역능력: 99038천톤/년
28. 서귀포항
위치: 제주도 서귀포시
개장: 1968년 1월 2종 지정항 (1997.12.8 개항장 지정)
항내수면적: 940㎦
안벽길이: 630m
접안능력: 5 (5천DWT×1, 3천DWT×2, 2천DWT×1, 1천DWT×1)
하역능력: 728천톤/년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니라 국제
적인 종합관광항만으로 발돋움해 나가고 있다.
방파제(m)
안벽(m)
물양장(m)
접안능력
하역능력
취급화물
2,071
630
817
5선석
1,359
유류(7.1%)
철재(1.1%)
비료(7.0%)
모래(35.7%)
시멘트(0.2%) 우리나라 주요 항만(28개항) 조사자료입니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항장(開港場)이 되었다. 영일만 깊숙이 위치하며, 구항과 신항으로 구분되는데, 구항은 1917년 지방항으로 지정되어 울릉도와 영남 내륙지방을 연결하는 유일한 관문이 되었다. 신항은 포항종합제철공장 및 관련 공업단지가 들어서게 되면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8개항으로 구성
Ⅸ. 일본의 국적법
전후 1950년에 시행된 일본의 新국적법에서도 일본국적의 취득은 원칙적으로 일본국적을 보유한 부모사이에서 출생한 자녀에 한정하고 있다. 일본은 父系血統主義를 채택하고 있었기 때문에 출생에 의해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항기 조선과 세계화 시대의 한국 : 역사적 조망,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Ⅰ. 한국근현대사와 운요호사건
Ⅱ. 한국근현대사와 강화도조약
1. 강화도 조약의 체결 과정
1) 일본의 침략적 교섭
2) 조약의 체결
2. 강화도 조약(1876)의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