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와 친일인물들에 대한 철저한 연구와 응징이 계속된다면 백두대간에 걸친 한민족의 미래는 보다 희망적일 것이다.
제 12 강
광주민중항쟁
수업, 비디오 내용
79.10 부마민중항쟁
10.26 박정희 사망
12.12 전두환 노태우 군사반란
박정희가 죽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3 사건의 역사적 의미를 되짚고 콘텐츠로서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며, 이 사건을 총체적으로 알아갈 수 있었다. 또한 사건의 과거와 미래를 연결 지어보고 또 슬픔에 공감하고 애도하는 마음으로 진정성 있는 콘텐츠를 그려볼 수 있었다. 기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25.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3peace.or.kr/kor/sub01_01_02.do
「주인을 핍박한 공권력의 폐해」, 김규원, 전주일보, 2022.04.03., https://www.jjilbo.com/
news/articleView.html?idxno=254588
「아픔의 역사에서 배우는 한국 ‘다크 투어리즘’」, 코리아넷 뉴스, https://www.kocis.go.kr
/koreanet/view.do?seq=10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700원
- 등록일 2024.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3학살사건의 사회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2.
김순태, 「제주43민중항쟁 당시의 계엄에 대한 고찰」, 민주법학 제14권, 1998.
김종민, 「43이후 50년」, 역사비평사, 1999.
김창후, 「1948년 43항쟁, 봉기와 학살의 전모」, 역사
|
- 페이지 3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9.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항쟁)의 사건진상보고서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의 작성은 한국 현대사에서 역사적인 사건임에 틀림없다. 정부가 수십년 동안 금기시해온 제주43과 관련한 진상조사 및 명예회복 위원회를 구성해 진상을 밝히고, 이를 보고서로 발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