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계엄령 선포
12. 2. 본격적 공비토벌작전 개시 : 52. 4. 14.까지 4단계로 실시
작전결과 : 후방지역 치안화보, 민생안정, 병참선 안전 확보
1단계 작전(~12. 14.) : 지리산 봉쇄 / 공비 1,612명 사살, 1,842명 생포
2단계 작전(~15. 1. 4.) : 전라북도 / 공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1.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6년의 마산 인구 8만 명이 전쟁이 끝날 무렵인 1953년에는 60% 이상 증가하여 13만명을 헤아리게 되었으니 기껏 미군의 원조물자나 구호양식에 의존해야 하는 당시의 현실에서 경제적 빈곤을 면할 수가 없었다. 그밖에도 휴전 이후 여러가지 문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61세이상:74, 남:313,여:388)
3. 사건의 마무리.
사건 은폐 : 외부와 차단, 발설 시 공비로 간주 총살 위협.
51년 거창 국회의원 신중목이 국회에서 터뜨려 국회 조사단 발족.
- 현지로 향하던 조사단에 김종원 대령의 지시로 발치산을 가장한 국군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4.0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6. 노병천, 「이것이 한국전쟁이다」, 군사세계, 2000.
7. 김준봉, 한국전쟁의 진실(상), 한국학술정보(주), 2010. 6. 1. 6.25전쟁 발발 직전 피·아 상황
2. 초기작전 실패 요인 : 전쟁준비 소홀
3. METT+T요소에 의한 실패 원인 분석
4. 한국군 방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1.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제 4장 유엔군의 참전과 지연전
1.미국 및 유엔의 참전 결정
2. 지연전의 본격적 전개
3.서부전선의 지연전
5. 한국군, 작전 지휘권을 이양하다
4.중 동부전선의 지연전
5.서남부전선의 지연전
6.대전 전투 이후의 전황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8.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