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뺀 나머지 장애음은 같은 조음위치의 평폐쇄음인 /ㄱ, ㄷ, ㅂ/로 바뀌는 현상을 평폐쇄음화 현상이라고 한다. 평폐쇄음화가 일어날 수 있는 특정한 환경이 있는데 이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뒤따르는 모음이나 자음이 없는 경우
삵→[삭]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5.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의 음운론적 차이를 발견하면 간섭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어와 다른 언어의 음운론적 대조는 이런 면에서 의미가 있다. 대조의 결과는 한국어교육에 실질적으로 활용되어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 기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2.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있다.
(1)가.a. 간장공장 공장장은 장공장장이고, 공공장 공장장은 공공장장이다.
b. 지붕 위의 콩깍지는 깐 콩깍지인가, 안 깐 콩깍지인가?
나. 삭톡끽 톡끽약 억딕록 각늑냑? 깍촉깍촉 Ⅰ. 국어(우리말, 한국어)의 형성
Ⅱ. 국어(우리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 변이
음운의 변이 현상은 전반적으로 한국어로서 나타나는 것은 다룰 필요가 없고, 그 방언에서만 나타난 특수한 현상만을 찾아내어야 할 것이다. 음운변이 현상에서는 또한 역사적인 음의 변천도 일수 있다. 현대어의 ‘가위’를 방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규칙이 그 종말을 고하는 말기적 현상만을 보여주는 것일 뿐이다.
Ⅳ. 국어 모음의 비모음화
한국어의 비모음화 규칙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비모음화 현상을 유형화하여 보이면 다음과 같다(V=모음).
(1)ㄱ. -Vŋ(+)i-. 골배이(우렁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