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지 매체를 이용한다.
2. 협동학습에서의 교사의 역할
협동학습모형에서 교사는 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팀을 구성하는 일 등에서 직접적(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모형을 적용하는 수업에서 교사는 주로 간접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5.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 선택
평가하기
학습 목표 도달에 대한 평가
[표 8] 개별화 학습 모형
◎적용상의 유의점
개별화 학습 모형의 교육관이나 철학적 관점을 세부적인 교실 수업 현장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개별화 학습 모형은 한 차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이다.
또한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은 데이비드 윌리와 아넷 그래트, 하미쉬 포져와 같은 사람의 연구에 영감을 불러 일으켰다. 그들은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이 그들이 개발한 전체 학교 프로그램 평가에 크게 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가상 체험 모형
2. 가창중심 학습 모형
3. 가치 갈등 모형
4. 가치 명료화 학습
5. 가치 수용 학습
6. 가치 탐구학습
7. 감상중심학습
8. 강의식 수업
9. 개념 학습
10. 개념 분석 모형
11. 구성 학습
12. 구안
|
- 페이지 257페이지
- 가격 8,000원
- 등록일 2009.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캐롤 모형에서 학습자의 개인차는 근본적이고 질적인 차이가 아니라 학습에 필요한 시간의 차이라고 본다. 여기서 학습에 필요한 시간은 수업의 질에 의해 줄어들 수 있다. 즉, 이는 누구나 적절한 수업처치를 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5.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수에 대한 연구를 새로운 수준의 성숙단계로 끌어올렸다고 본다.
Carroll의 모형은 학습의 기회와 관련하여 최적의 학년 길이, 수업일수의 길이, 기타 관련문제의 논의에서 많이 인용되었다.
2) Carroll 모형의 전망
Carroll은 자신의 모형은 구성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재능 탐색모형(SMPY : study of mathematically precocious youth)
2. 렌줄리 3단계 심화모형(삼부심화학습)
3. 학교 전체 심화학습모형(schoolwide enrichment model : SEM)
4. 다중메뉴 모형 (multiple menu model)
5. 퍼듀 3단계 심화 학습 모형
6. 자율학습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탐색한다는 데에 차이가 있다. 즉, 귀추법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가설연역적 순환학습에서는 탐색단계에서 어떤 현상을 관찰하고 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 후, 원인에 대한 가설을 세우는 것을 포함한다. 서술적 순환학습모형은 학습자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5.09.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습은 학습자가 소집단을 구성하여 구성원 간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방법이다. 상호작용 학습은 개개인의 공동 주제를 두고 학급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교수학습 모형에는 자원기반 학습모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2.01.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습활동의 촉진제가 될 수 있다.
Ⅴ. 협동학습의 모형
1. 집단탐구 모형(Group Investigation)
이 모형은 집단 프로젝트의 수행을 통하여 고차적 인지기능을 습득시키려는데 초점을 둔다. 학생들은 2∼6명의 팀으로 구성되며, 학습과제는 집단구성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