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도와 동북아 물류중심화 방안’ 2000년 1. 서론
2. 본론
1) TSR의 전반적 개요
2) TSR의 한계점(장점 및 단점)
3) TCR의 전반적 개요
4) TCR의 한계점(장점 및 단점)
3. 결론
1) 현재의 경쟁력
2) 향후 경의선/경원선 복원시 경쟁력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도(TKR)와 대륙노선을 연계하여야 한다. 서울을 기점으로 경의선을 이용한 서울-개성-평양-신의주,서울-경의선-중국횡단철도(TCR)를 이용한 선양, 베이징, 정쩌우, 우루무찌, 그리고 여기서 시베리아횡단철도(TSR)를 이용하여 움스크, 모스크바
|
- 페이지 7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도에 있어 국제기준에 적합한 운영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철도 운송의 여러 가지 이점도 결국은 잦은 환적으로 인한 시간/비용 낭비로 인하여 상실되지 않도록 하는 표준화가 필요하다.
경의선이 연결되면, TCR와 TSR의 기종점인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1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도(TSR)-한반도종단철도(TKR) 연결 문제는 2000년
6월의 남북정상회담에서 경의선철도를 연결하기로 합의한 이후 북한-
러시아 간에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북한은 노후화되어
있는 철도시설의 현대화와 통과세 수입을 기대할 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1.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의선을 매개로 한 한·중간 철도연결이다. 우선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시베리아횡단철도(TSR)을 매개로 한반도와 유럽을 연결하는 이른바 철의 실크로드이다. 그런데 이는 러시아가 매우 적극적이기는 하나 해운과의 경쟁력 확보가 최대 관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