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의 이해 - 인지 과학에 대한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의 이해 - 인지 과학에 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요약
Ⅱ. 서론
Ⅲ. 본론
1. 인지과학의 의미
2. 인지과학의 발달 과정
3. 인지과학에 수반되는 학문의 종류
4. 인지과학과 HCI(Human Computer Interface)의 관계
5. 인지과학의 미래 과제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와 같은 좁은 관점을 벗어나서 보다 넓은, 보다 다양한, 보다 적절한 (relevant) 종합적인 관점을 지닐 수 있는 길이 열린다는 가능성과, 우리의 그 동안의 무지를 조금이라도 더 줄일 수 있게 된다는 가능성에, 앞으로 펼쳐질 인지과학 연구에 고무될 수도 있다.
인지과학은 다른 학문들과 수렴되어 융합과학기술로 발전할 경우에, 미래 융합과학기술의 주요 4개영역에서 각각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인간 인지와 커뮤니케이션 기능 확장, 인간 신체적 건강과 능력 향상, 집단과 사회적 산출결과 향상, 국가 안전 증진(인지적으로 효율적이고 지능적인 병사, 병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개발), 그리고 개개인의 각종 학습과정을 과학적 기초에 올려놓는 학습과학 기술 향상의 네 영역에서 인지과학이 본래 지니고 있는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을 수렴시키는 특성에 의하여 다른 과학기술을 이어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Ⅳ. 결론
최근 컴퓨터 보급의 증가로 사용의 편의성을 요구하는 일반 대중은 인간에게 친숙한 HCI 기술의 출현을 바라고 있다. 그러나 자연성과 지능을 지닌 HCI 기술 개발은 인간의 지각 능력과 감성을 모델링해야 하는 어려운 작업으로 현재의 수준은 초기 연구단계에 있다. 이런 HCI의 더 나은 진보를 위해 인지과학이 밑바탕이 되어야한다.
인지과학은 마음의 과학이다. 심리학이 본래 마음의 과학으로 시작된 것이지만 인지과학은 마음의 인지적 기능에 집중하면서 전산학, 신경과학, 언어학 등 다른 영역들의 학문과 공동연구를 하는 새로운 종합과학이다.
지각하고, 기억하고, 계산하고, 추리하고, 이해하고, 판단하고, 문제를 풀고, 기술을 배우고, 일을 계획하는 것 등을 인지적 기능이라고 할 때 인지심리학만이 아니라 전산학에서의 인공지능 연구와 신경과학에서의 두뇌연구 그리고 언어학에서의 언어능력 연구의 놀랄만한 성과는 마음의 인지능력을 종합적으로 조명해 볼 수 있도록 해 주었다.
종합과학으로서의 인지과학은 우선 가장 자연과학적이고 엄밀한 방법에 의존하는 과학의 분야들을 중심으로 하고 그러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인지현상을 제한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그러나 인지현상만 하더라도 자연과학적 방법으로 제한될 수 없는 사회과학적 내지는 인문과학적 연구의 대상이 되는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더욱이 일반적인 심리현상이라고 하면 인지현상 보다는 훨씬 다양하고 다원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지과학은 자연과학적 엄밀성으로 시작하고자 하지만 사회학이나 인류학과 같은 사회과학과 교육학이나 철학과 같은 인문과학을 참여시키는 쪽으로 그 학문적 범위를 넓혀가지 않을 수 없다. 사회과학과 인문과학까지 포함하는 인지과학의 '과학'은 결국 '학문'이라는 뜻을 갖게 된다. 이것은 인지과학이 인지적 현상을 바탕으로 하여 심리현상 일반에 관한 이해를 추구하는 마음의 과학이 되고자 한다면 불가피한 전개 방향이다.
그러나 1950년대에 시작된 인지과학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미비한 상태이다. 나무만을 보다 숲을 보지 못하는 것처럼 하나하나의 학문에 집중되어 전체인 인지과학을 보지 못하는 건 아닐지 싶다. 학문들의 조화로 인해 이루어지는 인지과학에 좀 더 조화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Ⅴ. 참고문헌
◎ 데넷, 다니엘 (지음), 정대현, 이정모, 이태수, 윤보석, 김기현, 이병덕 (옮김) (2002). 의식의 과학적 탐구: 철학적 장애를 넘어서서(서울: 아카넷)
◎ 소흥렬 (1999). 인지과학의 철학적 전망. 1999년도 한국인지과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5.
◎ 이구형 (1999). 인간중심의 기술과 제품 개발을 위한 인지과학. 1999년도 한국인지과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6-11.
◎ 이정모 (1999). 인지심리학과 뇌. 과학사상, 29, 여름호, 64-92.
◎ 이정모 (2001). 인지심리학: 형성사, 개념적 기초, 조망(서울: 아카넷)
◎ 조명한, 이정모, 소흥렬, 김영정, 정대현, 정찬섭, 김정오, 이익환, 이기용, 이병혁, 이일병, 최기선 (저) (1989). 인지과학: 마음, 언어, 계산(서울: 민음사)
◎ Bechtel, W., Abrahamsen, A., & Graham, G. (1998). The Life of Cognitive Science. In W. Bechtel & G. Graham (Eds.). A Companion to Cognitive Science. Oxford: Blackwell (pp. 1-104).
◎ Bem, S., & Keijer, F. (1996). Recent changes in the concept of cognition. Theory & Psychology, 6, 3, 449-469.
◎ Calvin, W. (1990). The ascent of mind. New York: Bantam.
◎ Dennett, D. C. (1996). Darwin's dangerous idea: Evolution and the meanings of life. New York: Touchstone.
◎ Edelman, G. (1992). Bright air, brilliant fire. New York: Basic Books.
◎ Franklin, S. (1995). Artificial minds. Cambridge, MA: MIT Press.
◎ McCorduck, P. (1979). Machines who think. New York: W. H. Freeman.
◎ Nardi, B. (Ed.). (1996). Context and consciousness: Activity theory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Cambridge, MA: MIT Press.
◎ Solso, R. l. (1997). Mind and brain sciences in the 21st Century. Cambridge: MA: MIT Press
◎ Sperry, R. W. (1995). The Future of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50, 7, 505-506. (506 쪽)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8.06.28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79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