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에서의 팀목회에 관한 연구 및 적용 제안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교회에서의 팀목회에 관한 연구 및 적용 제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면서

2. 하고 싶은 말
1) 목회자의 역할과 그 한계
2) 한국의 담임 목사제도의 문제점들
3) 팀 목회(Team Ministry)의 개념과 특징
4) 팀 목회의 구조 연구
5) 팀 목회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3. 나가면서

본문내용

황에서 팀 목회의 성공 관건은 담임 목회자가 자신의 기득권을 포기하고, 권한을 위임하는데서 성공할 수 있다. 일인 독재 체제에 익숙한 한국적 교회 상황에서 팀 목회는 자칫 사분 오열을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중대형 교회의 경우 담임 목사가 자신의 기득권을 포기하고 권한을 위임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이러한 위임이 없이는 팀 사역 자체가 불가능하다.
) Ibid., p. 61.
한국적인 교회 상황에서 부목사직은 임시직이며, 권위주의적인 교회 구조 속에서 사원화되어 버렸기 때문에 부목사들이 겪는 정체성이 혼란이 심하다. 또한 교회 내의 갈등이 벌어질 때 부목사들은 담임목사와 성도들 사이의 삼각 구도 속에서 희생양으로 사임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부목사들이 받는 스트레스와 상처가 심함을 지적하고 있다. 이는 한국의 교회 안에서 부교역자들의 위치를 잘 보여주는 지적이라 하겠다.
다섯 번째, 평신도들을 목회에 포함시키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구조적으로 이를 보장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평신도가 교회 안에서 하는 목회의 중요한 이유가 있다. 많은 평신도들을 대개가 다 아마추어라고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그들도 다 치료해 주는 일에서나 사람들을 인도해 주는 일에 있어서 전문적인 일을 하고 있는 전문가들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들은 다 전문적인 개인적 협조자들인데 이들 중 많은 사람이 기독교인이요 또 교회 멤버인 것이다.
) Seward Hiltner, Preface to Pastoral Theology, 민경배 譯,『목회신학원론』, p. 48.
마지막의 경우는 광의적 의미에서의 팀 목회인데, 목회란 교역자만이 감당하는 것이 아니며, 진정한 의미에서의 팀 목회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평신도들을 목회 안에 받아들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평신도가 본래는 목회 전문가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자기 분에 맞는 목회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지게 된다면 여기 흔히 말하는 영감 이상의 무엇을 반드시 가지고 있도록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 Ibid., p. 49.
이러한 평신도를 세우는 사역은 팀 목회에서 뿐만이 아니라 다가오는 21세기에 있어서는 반드시 필요한 사역이라고 할 수 있다. 황성철 교수는 자신의 저서 『개혁주의 목회신학』에서 평신도를 위한 제언 중 첫 번째로 이러한 구비 사역(equipping ministry)을 들고 있다.
) 황성철,『개혁주의 목회신학』(서울: 총신대학교출판부, 2000), p. 316.
팀 목회란 교회의 구성원 하나 하나가 그리스도의 몸 된 지체라는 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자신에게 맡겨진 지체의 역할을 전문적으로 감당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목회의 형태인 것이다.
물론 현재 한국 교회 상황에 그대로 적용하기에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단독 목회에 있어서 담임 목사를 중심으로 하는 체제가 한계에 봉착하고 있는 이때, 많은 대안들과 개선안들을 우리에게 제시해주고 있음도 사실이다.
따라서 우리는 보다 성경적이면서도 가장 우리 현실에 맞는 목회의 모습을 발견하기 위해서 항상 노력해야만 한다. 그리고 그러한 길로 가는 과정 중에는 팀 목회라는 새로운 방향도 있음을 명심해야만 할 것이다.
나가면서
오늘날 성경과 기독교 전통에 기초한 바른 목회를 찾는 것은 매우 어려워 보인다. 목회에서 지켜져야 할 원칙과 룰이 많은 부분 무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목회의 목적도 불분명하고, 목회의 방향도 희미한 경우가 많다.
) Ibid., p. 3.
너무도 빠르게 변화되어 가는 변화 가운데 많은 목회자들이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있지 못하다. 그러나 한편 이렇게 다양한 국면으로 변화되어져 가는 가운데 너무나도 많은 대안들이 넘쳐나게 되어 많은 목회자들에게 혼란만을 가중시키고 있는 세태도 쉽게 우리 주위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에게 요구되어지는 것은 이리 저리 현실 세태에 흔들리지 않는 성경에 기초한 견고한 목회 신학인 것이다. 이러한 견실한 기초 안에 설 때에야 비로소 우리는 안정된 가운데서 목회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모습에만 안주해서는 안된다. 분명 세상을 따라갈 필요는 없겠으나 세상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필요는 있다. 점차로 세분화 전문화의 길을 걷고 있는 세상 앞에서 구태의연한 자세로 팔짱을 끼고 방관하는 것은 일종의 직무 유기라고 할 수 있다.
우리도 세상을 주도할 수 있도록 변화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한 하나의 방안으로 우리는 팀 목회라는 체제에 대해서 간략하게나마 생각해 보았다. 물론 아직까지는 많은 한계성과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는 것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기존의 담임 목사를 정점으로 하는 단독 목회의 피라미드식 구조의 한계점들을 분명히 밝혀주고 그에 대한 대안점들을 주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충분히 팀 목회는 새로운 세기의 목회의 대안으로 고려해 볼만은 하다.
팀은 현대 목회에 있어서 중요한 내용이며 특히 다양성 속에서 통일성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에서의 목회의 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한국 교회에서도 팀의 개념을 새롭게 개발하여 목회의 효율성과 21세기 사회에 대한 교회의 시대적 사명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 Anderson., Robert C. The Effective Pastor. 이용원 譯. 『목회학』. 서울: 소망사. 1994.
. Hiltner., Seward. Preface to Pastoral Theology. 민경배 譯.『목회신학원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4.
. Oden., Thomas C. Pastoral Theology. 오성춘 譯.『목회신학』.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 황성철. 『개혁주의 목회신학』. 서울: 총신대학교출판부. 2000.
. 이관직. \"목회자와 스트레스Ⅰ\". 신학지남. 2000. 가을호.
. 황성철. \"세속지향적 목회의 문제점과 그 대안\". 신학지남 2000. 가을호.
. 김종원. 21세기 목회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 서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1997.
. 송진국. 21세기 한국교회의 바람직한 목회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1997.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3.02.01
  • 저작시기2016.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41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