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동북공정과 한국 역사학계의 대응」 요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중국의 ‘동북공정’ 추진과 한국 역사학계의 대응 양상

Ⅲ. 중국의 고구려사 인식의 주요 논점 및 한국 역사학계의 비판

Ⅳ. 민족주의 역사관에 대한 성찰

Ⅴ. 맺음말

본문내용

책적 차원의 일환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는 있지만, ‘신강지구의 反分裂鬪爭對策, 운남의 禁毒工作’에 대한 설명이 없어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어렵다.
“마치 곳곳에서 유행처럼 이루어진 이런 모습은 당시 학계가 학술적 진지함을 잊고...”에서 ‘학술적 진지함’의 정의가 무엇이며, 학술적으로 진지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인지 의문이다. 또한 이러한 주장을 하는 구체적인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아 객관성을 확보할 수 없다.
Ⅲ. 중국의 고구려사 인식의 주요 논점 및 한국 역사학계의 비판
중국학계가 중시하는 족원론이나 영토이론이 한국 역사학계에서 취약한 부분이라고 하였는데 이에 대한 이유근거도 제시되어있지 않아 필자의 견해를 이해하고 동의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Ⅳ. 민족주의 역사관에 대한 성찰
탈민족주의, 동아시아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의 견해만 소개하고, 챕터의 제목과는 다르게 민족주의의 대안이나 민족주의 역사관에 대해 성찰하는 필자의 견해가 전무하다. 이는 이미 지적한 것처럼 머리말에서 저술의 범위에 대해 기술하였다 하더라도 여러 학자들의 견해만을 나열한 것에 그친 것은 아쉬운 점이다. 또 탈민족주의와 동아시아론의 주장은 언급되어 있었지만 민족주의 강화론에 대한 언급의 결여로 구체적이고 정확한 것은 알 수 없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거듭 언급한 내용이지만 동북공정에 대한 한국 역사학계의 대응 과정, 학자들의 여러 견해만을 언급하고 필자 본인의 견해는 결여된 것이 부족하다. 또한 과정을 되짚어보고 양상만을 드러내는 것을 과연 앞으로 논의의 과제로 삼을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남는 논문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0.07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7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