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나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商의 기원

2. 商의 건국과 강성
1) 商의 건국
2) 商의 강성

3. 商의 정치와 경제
1) 商의 정치
(1) 국가조직
(2) 신정정치
(3) 종법제도
(4) 군대
2) 商의 경제
(1) 농업
(2) 축목업
(3) 수공업
(4) 상업

4. 商의 사회와 문화
1) 商의 사회
(1) 사회구조
(2) 음식
(3) 의복
(4) 주거
(5) 교통
(6) 제사
2) 商의 문화
(1) 문자
(2) 종교 관념
(3) 천문학
(4) 역법
(5) 의학
(6) 음악

5. 商의 멸망
1) 잔혹한 통치
2) 멸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 죽은 사람의 영혼은 모두 商대 사람들에게 숭배의 대상이 되었고 후자는 商대 사람들의 신앙의 중심이 되었다. 그들의 마음속에는 귀신의 세계와 인간세계가 밀접한 관계를 맺고, 귀신이 온 인간의 운명을 조종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그들은 일상생활 중에서 어려운 일 또는 해답을 출 수 없는 문제를 만나면 점을 쳐서 귀신의 지시를 구하였다. 이밖에 大地의 神·風神·月神·星神 등을 숭배하였다. 조상에 대하여서 매년 일정에 따라 경건히 제사를 지냈으며, 제사에는 많은 것을 사용하게 되어 실로 사람이 놀랄 정도로 성대하였다. 조상에게 제사지내는 목적은 조상의 복이 내리기를 구하고 그 귀신의 재앙을 방지하는 데 있었다. 傅樂成, 신승하譯, 전인서, pp.21-22.
(3) 천문학
商대에는 천문과 역법이 발전하였다. 갑골문은 商商의 역법과 천문에 대해서 많이 언급하고 있는데 商人은 이미 일식과 월식을 알고 예측할 수 있었으며 별을 주기적으로 관측한 기사가 보인다. 사계절에 대한 관념의 여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봄과 가을에 관한 기사는 卜辭에 나타나고 있다.
(4) 역법
商대의 역법은 당시 천문학과 수학의 중대한 성과를 반영하고 있다. 1년을 12개월로 나누었고 월은 큰 달, 작은 달로 구분되었으며 큰 달은 31일, 작은 달은 29일 되어 있다. 또 윤달을 알고 있었으며 역법을 조정할 때 에는 윤달을 연말에 두어 13개월이 되기도 하였는데 이것은 商人이 태양력과 태음력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었던 사실을 말한다. 商人은 또 날짜의 기록을 위해 干支를 사용하였다. 商의 干支는 十干 十二支로 되었는데 十干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그리고 十二支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로 되어 있는데 갑자에서 계해에 이르기까지 60일을 一週로 해서 돌았다. 李春植, 전인서, pp.47-48.
(5) 의학
의학에 관하여는 갑골문 중에 疾자가 있었는데, 이 글자는 사람이 침대에 누워 땀을 흘리는 모양을 묘사한 것이었다. 또 약으로 사용한 약용 식물도 다수 발견되었는데, 복숭아 씨, 살구 씨, 오얏 씨 등이 있었다. 위의 내용을 볼 때 당시에 이미 상당한 의학 지식이 전문가들에 의하여 정리되었던 것 같다. 金榮煥 著, 전인서, p88.
(6) 음악
商대에 악기와 음률에 있어 매우 진보했다. 악기의 종류에는 도질(陶質)악기, 청동악기, 석질(石質)악기 이다. 청동악기의 출현은 주조 기술의 발전에 따른 산물인 동시에 상왕조의 음악이 발전 진보 하는 필요한 과정이기도 하다.
상에 이르러 음악과 춤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또한 궁정음악과 제사활동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신권 통치를 실행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쓰였다. 심규호,,《연표와 사진으로 보는 중국사》(서울, 일빛, 2002), p.25.
5. 商의 멸망
1) 잔혹한 통치
상나라의 왕은 자신의 조상과 신령에게 '제물‘을 바쳐야만 하였다. 그리고 각지의 귀족들은 왕에게 ’제물‘을 바쳐야만 하였는데, 이것은 왕이 조상이나 신령들에게 바치는 것과 같았다. ’제물‘로 바친 것은 바로 사람이었는데, 통상 한 번에 수십 명에서 수백명을 죽였다. 제사를 지내는 방법은 창으로 목을 따거나 배를 갈라서 죽인 시신, 혹은 머리를 신에게 바치는 식이었다. 또한 종묘를 지을 때, 살아 있는 아이를 매장하여 기초를 다졌다. 樊樹志, 김지환외3명 옮김, 전인서, p.72.
이러한 풍속은 모두 통치계급의 생전 생활 박식을 사후에 까지 연장하려는 욕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사람의 왕, 한사람의 귀족의 사후생활을 위해 어째서 이처럼 많은 희생이 필요하였을까. 그것은 왕이나 귀족이 신의 대표자 또는 화신으로서 일반 사람들과는 비교할 수 없이 우월한 존재였기 때문이다.
2) 멸망
상은 내부적으로 배반하는 부락들이 늘어나고, 동이를 점령하느라 국력을 소모하였으며, 주나라 사람이 살고 있는 서쪽에 대해서도 소홀하였다. 게다가 상의 마지막 왕인 주왕도 하나라의 걸과 같이 잔혹한 통치를 행하여 민심이 이반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문왕의 뒤를 이은 무왕은 맹진(하남 맹현)에서 여러 제후들과 모여 주왕을 정벌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그 계획은 계속 진전되지 못하다가 2년 후에 쌍방의 군대가 목야(하남 급현)에서 서약하고 주왕의 잘못을 질책하며 교전을 벌였다. 그런데 당시 상의 주력군은 동이를 정벌 중이었다. 따라서 주왕은 적시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였고, 이로써 주나라 군사들에 의해 상의 도읍인 조가(朝歌)가 함락되고 말았다.
결국 주왕이 스스로 분신함으로써 상왕조는 멸망되었다. 무왕은 즉시 상왕조의 통치 지구에 군대를 파견하여 대부분의 지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그 후 호경으로 돌아와 정식으로 왕조를 수립하였는데, 이를 역사상 ‘서주시대’라고 한다. 신승하, 전인서, pp.59-60.
《참고문헌》
1. 樊樹志, 김지환외3명 옮김,《100가지주제로 본 중국의 역사》,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2. 李春植·辛勝夏 共著,《中國通史》,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1993.
3. 이근명,《中國歷史》,서울, 신서원, 2002.
4. 김영진,《중국오천년사·상》,서울, 대광서림, 1991.
5. 김원중,《중국문화사》,서울, 을유문화사, 2001.
6. 許進雄 著, 洪喜 옮김《중국고대사회》,서울, 東文選, 1993.
7. 金榮煥 著,《中國의 歷史와 文化-舊石器시대부터 後漢까지-》,서울, 아이반호, 2005.
8. 백수이 주필, 방원성,김영무 譯《중국통사요강》(서울, 민족문화사, 1987.
9. 李春植,《中國史 序說》,서울, 교보문고, 1994.
10. 傅樂成, 신승하譯《中國通史-上》,서울, 지영사, 1998.
11. 인성핑,《신권의 일천년》,서울, 시공사, 2001.
12. 신승하,《세계각국사4 중국사》,서울, 대한교과서, 1998.
13. 심규호,,《연표와 사진으로 보는 중국사》,서울, 일빛, 2002.
14. 손병목의 지식공유, http://www.itmembers.net/ , 2006-05-24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7.22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43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