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포스트모더니즘이란

Ⅱ.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현대시와 포스트모더니즘
현대소설과 포스트모더니즘

Ⅲ. 포스트모더니즘과 예술
연극과 포스트모더니즘
영화와 포스트모더니즘
음악과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과 포스트모더니즘

본문내용

는 추상 대신에 대중성을 띄고 다시 구상이 등장하였다. 팝아트처럼 같은 대상을 여러 번 찍어 <다르게 반복하기>를 선보이는 경우, 모나리자 등 친숙하고 고유한 원본을 패러디하여 다양한 재현들을 선보이는 경우, 예술가의 권한을 축소한 미니멀 아트 등 단 하나의 절대재현을 거부한다. 문학에서는 인물의 독백이 사라지고 다시 저자가 등장하는데 더 이상 19세기 사실주의와 같은 절대재현을 못한다. 작가가 자신의 서술을 되돌아보고 의심하는 자의식적 서술인 메타픽션과 현실과 허구의 경계와 해, 인물과 독자에게 선택권을 주는 열린 소설, 보도가 그대로 허구가 되는 뉴저널리즘, 작가의 권한을 최소화한 미용에서는 토슈즈를 신었던 19세기 발레에서 맨발의 자유로움과 기법을 중시한 모더니즘, 그리고 다시 운동화를 신는 포스트모던 댄스로 대중성과 개성이 중시된다. 서사, 기호학1) 등 비평여론의 경계와 해는 공연예술에서 탈장르로 나타난다. 포스트모던 건축은 기능주의적이고 중앙집권적인 밋밋한 건축에서 장식과 열린 공간을 중시하고 분산적이며 옛것에 현대를 접합시킨 패러디가 유행한다.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의 일반의 특징은 해체적 충동이며 이것은 모더니즘의 자기 비판적 경향과는 구별된다. 모더니즘 이론은 이미지를 지시물에 일치시키는 행위, 즉 모방이 생략되나 정지될 수 있으며, 미술품 자체가 지시물을 대신 해버릴 수가 있다고 전제한다.
1)기호학 [記號學, Semiotics]
넓은 의미로 기호의 기능과 본성, 의미 작용과 표현, 의사소통과 관련된 다양한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사람들이 사용하는 기호를 지배하는 법칙과 기호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그 의미를 생산하고 해석하며 정신적인 과정을 연구한다. 기호학의 전통은 철학의 전통과 같이 한다. 서양에서는 그리스 철학자들이나 스토아학파, 중세 그리스도교 신학자들과 인문주의자들, 근대 철학자들이 관심을 보였고, 중국에서는 역(易)의 체계가 세계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을 시도한 작업이었다.
-16-
자기자체를 지시하는 이 수사적 전략은 모더니즘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카트 이래로 미적 쾌감의 근원과 동일시되고 있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작품이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할 경우, 그것은 더 이상 자신의 자율성, 자족성, 초월성을 옹호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체의 우연성, 미흡성 그리고 초월성의 결여를 이야기하기 위한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작품은 영원히 좌절될 수 밖에 없는 욕망과 영원히 유보될 수밖에 없는 야심에 대해 이야기 한다. 그렇기 때문에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적인 공격은 자신에게 소재를 제공해주는 현대의 신화들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모더니즘 예술의 상징적이며 총체화하는 충동까지 그 대상으로 삼는다. 그런데 작품의 가치를 부여하는데 현대미술만큼 철저히 대중의 취향이 배제된 영역은 없었을 것이다. 근대라고 명명된 시기 이전에는 소수의 취향에 의해 독점되었으며, 대중의 사회라고 일컬어지는 근대에 들어서도 미술은 여전히 소수의 취향만을 반영하고 있다. 이는 일정정도는 미술시장이 다른 예술분야와는 다른 시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명할 수도 있으나 이로는 역부족이다. 이미 맑시스트1)들은 현대미술을 미심쩍거나 명백한 사기라고 생각했고, 과거의 미술과 비교했을 때 명백한 솜씨의 결여와 함께 많은 사람들이 비록 그들이 맑시스트가 아니라 할지라도 지극히 의심스러운 눈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런 의혹과 시선으로부터 현대미술은 스스로를 사회의 전위(아방가르드)로 자임함으로서, 혹은 작품이 담고 있는 높은 정신성을 강조함으로써 그 정당성을 주장하여왔다. 예술작품의 정신성은 강조되고 물질성과 현재의 기만은 <명석하지만 혼연한 의식>을 얻는 것을 방해하는 저급한 것으로 치부된다. 이것이 모더니즘의 배경이다. 미술작품의 가치평가는 미술사적 전통과 결별하고 철학적 전통과 조우하였으며, 그 작품의 위대성이라는 것은 헤겔의 철학이 가리키는 <저 멀리 존재하며 우리가 다가가려 하는 절대적인 것>이 되어버리고 좋은 예술과 나쁜예술은 철학적 가치판단에 의해 구분되게 된 것이다. 자연스레 현대미술에 있어서 수많은 철학적 담론들과 첨단의 기술에 대한 설명이 정당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고, 후견인인 패트론과 미술사가를 대신하여 미술평론가가 이 정당성을 부여하는 위엄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것은 모더니즘 회화의 근원이며 모더니티의 반영과는 다소 다른 이야기이다. 근대사회 전반의 모더니티가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친 모더니티의 이야기가 그보다 늦어도 1세기 이상 이전에 시작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다른 어떤 예술보다 사회의 변화에 앞서고 언제도 아방가르드를 자임하던 현대미술의 영역에서 모더니즘을 자임한 화파2)가 20세기 중반에서야 등장한다는 것은 아이러니다. 그러나 내막을 들여다보면 이미 많은 모더니즘 회화 이전의 미술들이 모더니티의 산물임을 보여주는 증거자료를 가지고 있다. 결국 모더니즘 미술의 역사란 것은 모더니즘 미술 비평가들에 의해 그러한 모더니티가 작품을 설명하는데 주요한 작품이 될 것이며, 이제 미술사가의 역할은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그래서 아놀드하우저는 미술사가 아닌 미술의 사회사로 피신했고, 많은 미술사가들은 예술가 개인의 역사를 천착함으로써 자신의 영역을 찾으려 안간힘을 쓰게 된다.
1)맑시스트 [Marxist]
맑시스트는 칼 마르크스의 경제, 사회, 정치, 철학적 이론을 묘사하는 사람 또는 이러한 가치를 반영하는 어떤 예술 작품을 일컫는 말이다. 마르크스주의 비평이라 함은 사회학적 문학 접근법의 하나로 이론의 토대를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교설(敎說)에 두고 있는 비평이론이다. 인간과 제도의 역사적 발전은 경제적 생산의 기본양식의 변화에 의해 결정되며, 변화는 모든 시대에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이익을 얻기 위해 투쟁하는 사회계급들의 구조에 변화를 일으키며, 모든 시대의 종교, 사상, 문화는 그 시대의 특유한 구조와 계급투쟁에서 복합적인 `변증법적` 방법으로 생겨나는 이데올로기들과 상부구조들이라는 마르크스주의에 토대를 두고 있다.
2)화파 [派]
미술회화에서, 그림을 그리는 이들의 사상·기법·생각 따위에 따라 나눈 유파(類派).
-17-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8.04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53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