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통․폐합의 경제적 이득과 함께 역으로 발생하는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해 논하시오.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면서
Ⅰ. 대학 통폐합의 현실
1. 인구감소
2. 정부의 대학구조 개혁 추진 계획
3. 지방대학의 위기 구조
Ⅱ. 통합사례
1. 구체적 사례 - 전남대 + 여수대
1) 통합 과정
2) 통합 양해각서에 나온 주요 내용
3) 통합으로 인한 가시적인 효과
2. 구체적 사례 - 상주대학교
1) 내부구조개혁
2) 대학 통폐합
3) 대학 통폐합의 구체적인 전략
3. 통합 후의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한 사례
1) 국립 부경대
2) 영산대
Ⅲ 통합의 어려움
1. 학생들의 반대
2. 교수․교직원의 반대
3. 학교 환경 변화로 인한 어려움
4. 협상과정에서의 반대를 추구하는 유인에 대한 해결책
Ⅳ. 경제학적 분석
1. 학생수 감소와 관련하여.
2. 전체 대학의 정원 감소를 위한 조치
3. 해당 문제에 대한 결론

나오면서
1. 대학 구성원들의 만족 극대화
2. 교육의 질 극대화
3. 상위권 대학들의 학생지원 프로그램 향상
4. 세계적인 대학 통폐합 추세와 나아갈 길

본문내용

대화
순위
대학
1
KAIST
2
서울대
3
POSTECH
4
연세대
5
성균관대
6
고려대
7
한양대
8
세종대
9
서강대
10
인하대
11
이화여대
12
부산대
13
전남대
14
중앙대
15
경희대
16
아주대
17
건국대
18
경북대
19
서울시립대
숙명여대
숭실대
충남대
교육부는 지방 대학의 통합을 지원하기 위해 교수를 투입해주는 지원을 내세웠다. 대학교육은 사실상 교수의 연구 실적에 따라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지방대학의 경우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인하여 연구 지원 역시 어려운 상황이다. 교수들이 능력을 갖추고, 능력을 펼쳐 연구할 수 있는 만큼의 지원이 가능한 대학이 전반적인 교육 질 향상의 목표이다. 다음은 2006년 중앙일보에서 각 대학 교수 지원 및 평가에 대한 결과를 발표한 것이다.
순위
대학
1
서울대
2
KAIST
3
POSTECH
4
명지대
5
한국기술교대
6
연세대
7
전남대
8
서강대
9
성균관대
10
고려대
11
서울시립대
12
한양대
13
중앙대
14
이화여대
15
세종대
16
목포대
17
아주대
18
인하대
19
국민대
20
단국대
순위
대학
피인용 논문 수
순위
대학
피인용논문수
1
POSTECH
1.9
9
서강대
0.17
2
KAIST
1.04
아주대
0.17
3
서울대
0.67
이화여대
0.17
4
연세대
0.3
전남대
0.17
5
성균관대
0.27
13
경북대
0.16
6
고려대
0.21
14
부산대
0.15
7
울산대
0.18
세종대
0.15
한양대
0.18
인하대
0.15
최근 5년간 SCI, SSCI, A&HCI 10회 이상 인용된 교수당 논문 수
위의 지표에서 알 수 있듯이 서울 소재 대학들과 주요 특성대학들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통폐합을 하였거나 향후 추진계획이 있는 대학들은 교수들을 어떻게 지원할 것이며, 산출물들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목표를 설정하여야 한다.
3. 상위권 대학들의 학생지원 프로그램 향상
대학들의 서열화가 존재하는 이상 입학생의 입학 당시의 능력은 다르다. 대학의 프로세스를 거친 후에 학생의 능력이 최대한 향상될 수 있는 대학의 프로세스가 마련되어야 한다. 각 대학들은 이를 위해 학생들에게 단순히 강의 이외의 것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들을 개설하여 좋은 호응을 얻고 있다. 또한 학교의 위상을 높이고, 대학의 경쟁력을 국내를 넘어 국제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된다. 통폐합 대학들은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하여,
지원 프로그램을 향상 시켜야 할 것이다. 다음은 주요 대학들의 프로그램을 조사한 것이다.
① 고려대
외국 대학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에 고려대학생들을 위한 기숙사를 지었으며, 현재 235명의 교환학생이 파견되어 있다. 또한 Visit Student 역시 200여 명이 협정을 맺은 학교에서 공부 중이다. 학생 교류 프로그램이 매년 생겨나고 있으며, 교환교수 프로그램이나 외국 대학과의 학술 협정이 활발하다.
② 연세대
마이크로소프트사와 산학 교류 및 협력에 관한 양해 각서MOU 를 작성하였다. 또한 연세대-고려대-게이오대-와세다대는 매년 한-일 밀레니엄 포럼을 개최하며 공동 학위제를 마련하였다.
③ 한양대
대학, 연구기관, 정부, 기업이 합쳐진 클러스터를 발생시켜 공동연구, 공동 시장을 개최하려는 노력 중이다. 한국과 독일의 기술협력을 위한 협정 중이다. 독일의 기초기술을 한국의 응용력으로 상품화시키기 위해 교수 연구 교류 중이다.
④ 성균관대
특정 기업과의 연계로 성공한 사례이다. 삼성과의 10년간 교류로 전임교수가 48.7% 증가하였고, 1인당 학생 수도 36명에서 32.12 명으로 줄어들었다. 또한 교수 1인당 외부 연구비 역시 3,100만원에서 9,140만원으로 늘어났다.
4. 세계적인 대학 통폐합 추세와 나아갈 길
이웃나라 일본은 이미 국립대학 재건을 명분으로 2002년 101개에 이르던 국립대학들을 2년 만에 89개로 통폐합을 단행했고, 중국은 국내 100개 대학을 선정해 세계일류대학으로 중점 육성한다는 취지아래 1992년 733개에 이르는 대학들을 2002년까지 288개로 합병하는 구조개혁을 완료한 상태다 www.campustimes.com 전교학신문, 오상상 컬럼, 수도권 대학들의 지방분권 문제
.
산업사회에서 지식사회로의 이행은 이제 세계적인 흐름이고, 한국 역시 지식사회로의 이행을 진행 중에 있다. 대학은 지식사회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한국의 대학중 세계 100대 대학에 들어가는 대학은 손에 꼽을 정도로 작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이 변화하지 않으면, 나중에 닥칠 지식사회에서의 한국의 경쟁력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지난 30년간 한국의 대학과 교육체계는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다. 대학 수의 확장, 그리고 문맹률 저하는 분명 칭찬할 만한 일일 것이다. 하지만 이면에는 대학들의 양적 팽창이 빚어낸 문제점들-국제적으로 질 낮은 교육, 수도권내 대학 집중현상, 특성화와 산학협력 미흡-은 분명 해결해야 될 문제이다. 대학간 통폐합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첫 걸음이다. 또한 대학들의 생존을 위해서, 학생들을 위해서라도 대학 간 통폐합을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다.
들어가면서
Ⅰ. 대학 통폐합의 현실
1. 인구감소
2. 정부의 대학구조 개혁 추진 계획
3. 지방대학의 위기 구조
Ⅱ. 통합사례
1. 구체적 사례 - 전남대 + 여수대
1) 통합 과정
2) 통합 양해각서에 나온 주요 내용
3) 통합으로 인한 가시적인 효과
2. 구체적 사례 - 상주대학교
1) 내부구조개혁
2) 대학 통폐합
3) 대학 통폐합의 구체적인 전략
3. 통합 후의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한 사례
1) 국립 부경대
2) 영산대
Ⅲ 통합의 어려움
1. 학생들의 반대
2. 교수교직원의 반대
3. 학교 환경 변화로 인한 어려움
4. 협상과정에서의 반대를 추구하는 유인에 대한 해결책
Ⅳ. 경제학적 분석
1. 학생수 감소와 관련하여.
2. 전체 대학의 정원 감소를 위한 조치
3. 해당 문제에 대한 결론
나오면서
1. 대학 구성원들의 만족 극대화
2. 교육의 질 극대화
3. 상위권 대학들의 학생지원 프로그램 향상
4. 세계적인 대학 통폐합 추세와 나아갈 길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09.22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03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