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문양][한국전통태극문양][태극문양]한국전통문양의 개념, 한국전통문양이 종류와 의미, 한국전통문양의 특징, 한국전통문양의 분류 및 한국전통태극문양의 의미, 한국전통태극문양의 활용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전통문양][한국전통태극문양][태극문양]한국전통문양의 개념, 한국전통문양이 종류와 의미, 한국전통문양의 특징, 한국전통문양의 분류 및 한국전통태극문양의 의미, 한국전통태극문양의 활용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전통문양의 개념

Ⅲ. 한국전통문양이 종류와 의미
1. 문양의 종류
2. 문양의 의의
3. 문양의 발생

Ⅳ. 한국전통문양의 특징

Ⅴ. 한국전통문양의 분류
1. 길상문양(吉祥紋樣)
2. 떡살문양
3. 창살문양
4. 연화문양(蓮花紋樣)
5. 당초문(唐草紋樣)
6. 십장생문양(十長生紋樣)
7.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
8. 단청문양
9. 기하문양(幾何紋樣)
10. 귀면문양(鬼面紋樣)
11. 비운, 비천문(飛雲, 飛天紋)
12. 구갑문양(龜匣紋樣)

Ⅵ. 한국전통태극문양의 의미

Ⅶ. 한국전통태극문양의 활용
1. 우리문화 속에서의 태극의 쓰임새(유형문화2)
2. 문화속에서의 태극의 쓰임새(무형문화)
3. 도자기에 있어서의 태극 선
4. 의복에 있어서의 태극 선
5. 건축에 있어서의 태극 선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火)을 통하여 비로소 만들어지는 우리의 도자기는 태극의 사상(자연과의 일체성, 우주의 흐름과의 일체감)이 잘 담겨있을 뿐만 아니라 도자기의 선(線)자체도 태극의 선과 그 흐름을 같이 하고 있다
4. 의복에 있어서의 태극 선
중국의 미는 형(形), 일본의 미는 색(色) 그리고 한국의 미는 선(線)이라는 말이 있다. 그렇게 구분하지 않더라도 역시 한국의 아름다움은 선에 있고 한국적 선의 유연성은 한복(의복)에서 그 절정을 이룬다. 한복의 선은 태극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선의 변화를 수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의 이치에 거역하지 않는 자세를 가지고 융통성과 우주의 진리, 태극의 사상까지도 수용하여 그 맥을 같이한다.
5. 건축에 있어서의 태극 선
태극을 구성하는 선은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요소로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 선들을 부분적으로 구분하여 보면 매우 완만한 선이 있는 반면 급격하게 변화하는 선이 함께 존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건축에서도 지극히 자유롭고 여유가 있는 현수선과 함께 적당한 긴장감을 연출하는 지붕의 처마선은 전체적으로 지붕(건축)의 무게를 시각적으로 감소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한국의 선(線)의 유연성은 가장 두드러진 특징으로 태극의 사상 (조화와 화합) 과 그 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Ⅷ. 결론
일찍이 유럽에서 한국미술품이 관심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19세기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1981년에 출간된 라이호(Reich) 박물관 소장품 도록은 아마도 유럽에서 한국미술품에 대해 기록한 최초의 문헌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이 도록에는 벌써 한국문화관계 자료들이 인용되는 가운데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민속품과 미술품에 대해 분석을 가하고 있다. 그리하여 회화의 경우, 산봉우리들과 옹이 박혀 꾸불꾸불한 나무 형태들과 특징적인 한국 산악을 연결짓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필치(Ausfugrung)에 관해 말한다면, 자연성(Naturwahrheit)을 저버리지 않았으며, 인간 형태의 표현에 있어서 어진가 딱딱하긴 하지만 해학적으로(Karikiert)처리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한국 예술의 미적 본질을 자연성으로 인식하고, 또 무엇보다도 표현적 특징을 해학으로 보았다는 점은 중요한 대목이 아닐 수 없다.
1902년에 쓴 짐머만(ernst Zimmermann)은 우선 동양 삼국의 미술을 상호 비교한 후, 그 중에 한국 미술 전반이 자연에 대한 편향성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전제, 특히 회화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한 특징이 두드러지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예컨대순수하고, 건강하고, 자연스런 색깔이 이용되어 자연의 순수한 표현에 대한 기쁨이 드러나고 있다.
윌리암 콘(William Cohn)이 집필한 (1918/19)는 석굴암 조각을 주로 다룬 논문인데, 특징적인 것은 석굴암 부조의 십대제자상들에 관한 것이다. 그것들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인간 유형을 구현하고 있다. 정신성에 의해 이룩된 육체, 태도,제스쳐, 가장 강력한 집중과 의지력에 의해 표현된 손들은 그 점을 말해 준다. 그리하여 한국 승상들의 강하게 웅집된 실루엣이 이것들과 비교되는 7세기말의 용문 칸칭수 석굴의 29승상들을 능가한다고 매듭지었다.
참고문헌
남철균(2005) - 문양의 의미, 태학원
신광준·조영철(1984) - 한국 전승 문양초, 대지 문화사
임영주(1991) - 전통문양 자료집, 미진사
임영주(1988) - 한국전통문양(전3권), 예원
정복상·정이상(1995) - 전통문양의 응용과 전개, 창지사
장수경·김재숙(2000) - 한국전통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및 적용대상에 따른 감성이미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 24권 제2호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7.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53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