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조권침해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조권침해에 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問題의 所在

Ⅱ. 判例의 檢討
1. 일반상업지역 내에서의 일조권 침해의 경우
2. 일조권 등을 침해 받고 있는 피해건물에 입주한 경우
3. 주거지역 내에서의 일조권 침해의 경우
4. 사찰 등의 일조방해의 경우

Ⅲ. 判例의 分析
1. 일조권 침해에 대한 배상소송의 법적구성
2. 수인한도의 판단기준
3. 일조권 침해시 손해액 산정의 기준
4. 피해자들이 거주하는 아파트 시공회사의 책임

Ⅳ. 結論

參考文獻

Abstract

본문내용

임」, 계명대학교출판부(1999)
강경근,“일조권 관련 토론요지”, 토지공법연구 제3집, 한국토지공법학회(1996.9).
구연창, “일조권의 법적 보호”, 민사법학 제6호, 한국민사법학회(1986.12)
김기수, “공해의 사법적 구제의 방향과 상린관계적 구성”, 환경법연구 창간호, 한국환경법학회(1979)
김태봉, “일조권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 민사법연구 제8호, 대한민사법학회(2000)
류지태, “일조권에 관한 공법적 검토”, 토지공법연구 제3집, 한국토지공법학회(1996.9)
박창현, “일조권침해로 인한 공사중지가처분”, 판례연구 제7집, 부산판례연구회(1997)
송오식, “환경오염과 사법적 구제”, 비교사법 제5권 2호, 한국민사법학회(1985.2)
오세훈, “일조권에 관한 사법적 검토 일조침해에 의한 손해배상”, 토지공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토지공법연구 제3집(1996)
윤철홍, “환경이익침해에 대한 사법적 구제”, 비교사법 제7권 1호, 한국비교사법학회(2000)
이동기, “환경소송에 있어서 입증책임완화에 관한 연구”, 법조 통권564호
이동원, “일조권 침해에 관한 판례의 동향”, 민사법학 제27호, 한국민사법학회(2005)
이승우, “일조권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 법학논총 제26집, 전남대학교 법률행정연구소(2006)
______, “공해방지소송” 재판자료 제2집, 법원행정처(1979)
이용우, “수인한도론 소고”, 법조 10호
이유택 외 3인, “건축법에 있어서 일조권 변경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18권 2호, 대한건축학회(1998.10)
전경운, “일조권과 조망권에 관한 소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 포럼(1998.11.3)발표자료
______, “일조권과 조망권의 법적 타당성에 대한 검토”, 사법행정 제39권 11호, 한국사법행정학회(1998.11)
전극수, “일조권분쟁의 공법적 해결을 위한 연구”, 환경법 연구 제30권 2호, 한국환경법학회(2008)
정권섭, “환경오염과 사법상 구제”, 법과 환경, 한국법학교수회편
최상호, “환경오염에 대한 사법적 구제”, 환경과학논집 제2권 제1호, 계명대학교 낙동강환경원(1997)
최창렬, “일조권 보호법리의 재고”, 환경법 연구 제29권 3호, 한국환경법학회(2007)
加藤一郞,「公害法の生成と展開」, 東京: 岩波書店(1968)
淡路剛久,「公害賠償の理論(補版)」, 東京:有斐閣(1978.6)
野村好弘,「故意過失および違法性」, 加藤編
奧田昌道 外編,「民法學6」, 東京:有斐閣(1975)
澤井裕,「公害の私法的硏究」, 東京:一粒社(1969)
楠本安確, “日照權”, ジユリスト第506
藪重夫, “日照の私法的保護に關する諸問題”, 北大論集 第25卷 第3
原田尙'彦, “環境權と裁判所の役割”, 判例タイムズ 第256
好美淸光, “日照權の法的構成”, 特集:日照權(1974.1)

Legal Relations from Invasion of Right to Enjoy Sunshine
-Centered on Examination of Judicial precedents-
Kim, Jung-Jin
Population growth requires efficient use of lands, and damage to the right to enjoy sunshine or to the prospect becomes remarkable issues. Although the right to enjoy sunshine is not included in typical issues of environmental invasion, issues on it have a common characteristic as a kind of environmental invasion. In other words, damage to the right to enjoy sunshine is constant like environmental invasion behaviors,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invasive behaviors even by legal exercise of rights of offenders. This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right to enjoy sunshine: a resident of a north building who enjoys sunshine through the space of adjacent south land is invaded of his right on the sunshine when one who has the right to use the south land builds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s that screen the sunshine, and then the resident may claim his right to have certain amount of sunshine.
Practically issues on damage to the right to enjoy sunshine should be secured through judicial redemption of rights, and therefore, Korean courts have presented relevant judicial precedents, though not plenty.
In this study the author considered the legal structure of lawsuit for claim for damages and the criteria on unbearable pain, centering on judicial precedents.
Key words: Right to enjoy sunshine, Theory of unbearable pain, Environmental invasion, Right to claim for damages, Theory of neighborhood relations, Theory of unlawful behaviors, Building in dispute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9.10.15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69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