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와 발해 관계의 재조명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INTRO

2.신라(新羅)
1) 역사
2) 제도
3) 문화

3.발해(渤海)
1) 건국과 성쇠
2) 강역과 교통로
3) 사회구조
4) 산업경제
5) 대외무역
6) 문물제도

4.나라들간의 관계
1) 신라와 발해의 관계
2) 발해와 고려의 관계
3) 발해와 중국과의 관계
4) 발해와 일본의 관계

5. 신라와 발해의 신학설
1) 신라를 통일신라라고 보아야 하는걸까?
2) 신라와 발해의 관계 재조명

6.OUTRO-남북국시대가 주는 우리의 당면책 통일에 주는 교훈

▶참고문헌◀

본문내용

) 초기에는 알려지지 않았고, 원(元) 중기가 되어서 세상에 나왔다. 《자치통감(資治通鑑)》 《속자치통감장편(續資治通鑑長編)》 《신오대사(新五代史)》 《송막기문(松漠紀聞)》 《연북잡기(燕北雜記)》 등의 송나라 자료와 《사료도초》 《북료유사(北遼遺事)》 등의 일서(逸書)도 인용하였다. 정사(正史)인 《요사(遼史)》에서는 볼 수 없는 기사와 의견이 간혹 있다. 27권.
거란국지”는 발해의 마지막 왕인 대인선이 거란의 팽창을 두려워한 나머지 은밀히 ‘신라제국(新羅諸國)’에 구원을 요청하여 이것을 약속받았다는 내용을 전하고 있다. 여기서 신라의 여러나라인 신라제국은 신라를 비롯한 후삼국의 여러나라로 보아야 할 것 이다. 그러나 발해를 은밀하ㅔ 돕기로 했던 신라제국이 오히려 침략자인 거란을 도왔다고 한다. 이와 같은 사실은 신라 사신이 “발해 정벌에 공이 있었다고 하여”거란으로부터 상을 받았다는 점에서 확인되고 있다. 당시 후삼국의 사정으로 보아 신라가 거란의 침략을 지켜보고 있으면서, 거란을 도왔다고 여겨진다. (사진은 발해의 쇠투구)
신라가 발해의 멸망과정에서 발해의 도움요청에 응했으나, 결국 발해를 돕지 못하고 침략자 거란을 도왔다고 하는 사실은 한국사의 남북국사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양국은 일정하게 공동체 의식을 갖고 있었기에 돕는다고 약속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남북국의 대립이 고착된 결과 돕겠다는 약속을 저버리고 만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요컨대 남북교섭에서 신라는 특정 정치 집단의 이해관계에서, 그리고 발해는 안정이 아닌 위기하에서만 신라와의 교섭을 시도 했었다. 그리고 남북국의 교섭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양국이 당과의 관계에서 자주적이었을 때였다. 그러나 두 나라는 각기 당이나 일본과의 관계를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남북교섭은 차선책으로 여겼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신라와 발해의 문화적 이질성이 심화되고 대결이 고착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리하여 신라 중심의 고려 후손들이 발해와, 그 후손인 거란 속의 발해인과 여진을 이민족으로 보는 결과를 가져오게 만들었다.
6.OUTRO
-남북국시대가 주는 우리의 당면책 통일에 주는 교훈
지금까지 신라와 발해의 각 국가의 모습과 그리고 그들 국가들의 관계와 다른 주변국들과의 관계, 마지막으로 최근에 나오고 있는 신라와 발해에 관련된 학설들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발해와 신라가 양립하였던 시기를 남북국시대로 이름하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런데 신라와 발해가 교섭과 대립의 역사를 되풀이했다는 점에서 남북국시대는 남북분단의 통일운동시대와 일정하게 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남북국시대에서 생각할 수 있는 점의 하나는 양국이 하나의 통일 왕조를 이루지 못하고 이민족에게 멸망함으로써 신라의 후손인 고려, 조선이 북쪽의 발해나 그 후손들을 고구려나 발해의 후손으로 인정하지 않게 되었다는 것이다. 북쪽의 발해 후손들은 만주족으로서, 신라 후손과 다른 새로운 종족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발해가 이민족에게 멸망한 이유에는, 내부적 요인과 신라와의 자주적이지 못하였던 남북국사도 한 몫을 하였다고 보여진다.
현재에는 과거의 남북국시대와 통일운동의 남북분단시대라는 공통의 역사적 관심을 가지고 남북한의 대화도 가능하다. 그 하나는 과연 남북한은 민족의 장래를 위해 자주적 외교를 펼치고 있는가 하는 점이자. 인접국 간의 자주외교란 원교근공의 대결외교가 아닌 근친외교의 평화외교를 의미한다. 그러나 신라와 발해는 각각 당과 일본과의 관계를 더 중시하는 원교근공지향하고 있었던 점을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또 하나는 남북대결이 민주적 역사발전에 장애가 된다는 점이다. 신라가 당을 가깝게 하면서 대내적으로는 김헌창의 반란에 피의 숙청을 단행했는가 하면, 대외적으로 신라와의 변경비역에 성을 쌓는 등 대결외교를 펴쳤다. 이를 통해 우리는 남북분단이라는 이유로 인해, 민족구성원의 자유가 유보되는 반민주적 역사 상황이 묵인되거나 방조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배워야 한다.
사실 이번 레포트로 인하여 가장 좋았던 것은 나 자신이 아니였나 생각이 된다. 방대한 양의 자료들과 그 자료들을 읽으면서 나름대로의 공부가 되었다는 것, 새로운 사상을 찾기에는 조금 어려운 것 같았지만 현재는 홀가분하기도 하고 조금 아쉬운 부분도 남는다. 고구려사 왜곡문제와 발해문제 등과 같이 북쪽에서 여간 시끄러워지는 이 시기에 적어도 이 부분에 대해서 알고 갈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았다.
▶참고문헌◀
<서적>
박시형 저,『발해사』,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79
임상선 편역,『발해사의 이해』,신서원, 1990
임상선 저,『발해의 지배세력 연구』,신서원, 1999
송기호 저,『발해를 찾아서』, 솔, 1993
한우근.이성무 편저,『사료로 본 한국문화사』, 일지사, 1985
임상선 편역,『발해의 역사』, 한림대출판부, 1987
정지헌 편역,『남북국시대론(발해-신라)은 근거없다』황정일 보고서
변태섭 저,『한국사통론』,삼영사, 1998
윤선태 저,『신라골품제의 구조와 기반』, 서울대 국사학과, 1993
역사신문편찬위원회 엮『역사신문1:원시시대~통일신라』,사계절, 1995
이이화 저,『한국사이야기4:남국신라와 북국발해』,한길사, 1998
한용근 저, 『우리역사 우리문화』, 서경문화사, 2000
송기호 옮김,『발해고』,홍익출판사, 2000
송기호 저,『발해를 다시 본다』,주류성, 1998
한규철 저,『발해의 대외 관계사』,신서원, 1994
신천식 저,『한국고대 민족사의 탐구』,서경, 2003
<논문>
윤재운 저『신라와 발해의 경제 교섭』,역사학연구회, 2002
조이옥 저,『8세기 전반 신라와 발해의 대립관계와 그 요인』,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994
한규철 저,『신라와 발해의 교섭과 대립』,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994
한규철 저,『발해건국 1300주년(698~1998)-발해사 분류별 논저목록』,고구려연구회, 1998
<인터넷>
사단법인 신라문화 진흥원 http://www.shilla.or.kr/
신라,고려,조선,고지도 http://www.ulsan.pe.kr/
고구려연구회 http://www.koguryo.org/
KODIA http://www.koreandb.net/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05.09.29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0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