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국내실태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2 장 선행연구 고찰
1. 죽음에 대한 이론적 고찰
2. 노년기와 죽음의 관계성
3. 죽음 준비교육의 개념

제 3 장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 사례
1. 미국
2. 독일
3. 호주
4. 일본

제 4 장 우리나라의 사례

제 5 장 결론 및 함의
1. 요약
2. 제언

본문내용

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은 노인들이 아름다운 노후를 가꾸어 가고 남은 생을 보다 잘 마무리 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2. 제언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의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 필요성을 설명하는데 중점을 두어 연구되어졌다.
지금까지 노인의 죽음 준비교육에 대해서 아쉬웠던 점은 우리나라가 나날이 고령화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이고, 이로 인해 노령화 국가가 되는 것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음에도 정작 노인들에게 현실적인 문제일 수 있는 죽음에 대한 프로그램에 국가의 관심이 적었다는 점이었다. 노인뿐만 아니라 사람이라면 언젠가는 맞이할 죽음을 준비하는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관심 뿐 아니라 정부차원의 관심과 배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들의 죽음 준비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함으로써 본 연구를 끝맺음하려 한다.
첫째, 죽음 준비교육을 위해서는 노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있어야 한다. 노인들에게도 필요한 사회적, 심리적 욕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이가 많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욕구도 없는 무능한 사람으로 취급되어지는 것은 삶에 대한 의욕을 감퇴시키는 효과를 나을 수 있다.
둘째, 노인 스스로도 노인에 대한 올바른 자아인식이 필요하다. 자신의 현재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죽음에 대한 준비만큼 중요한 삶에 대한 관심과 더 나은 삶에 대한 욕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외국의 경우와 같은 전 생애에 걸친 죽음 준비교육이 필요하다. 죽음은 결국 전생애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삶의 결과이다. 이를 위해서는 오랜시간에 걸친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의 성립이 필요하다. 죽음은 단순히 삶을 마치는 순간이기도 하지만 삶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성스러운 의식이기도 하다.
넷째,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외국의 경우와 같이 죽음 준비교육을 위한 전문인력이 활약한다면 현재 거의 개발되어 있지 않은 우리나라의 죽음 준비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직업의 개발 등 다양한 사회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의 적극적인 의지와 관심, 도움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참고 문헌>
1. 단행본
김성순(1989). 노인복지론, 서울 : 홍익제.
김태현(1996). 노년학, 서울 교문사.
임춘식(2001). 고령화 사회의 도전, 나남출판사.
홍숙자(1999). 노년학 개론, 서울 도서출판 하우.
2. 논 문
김선화(2003). 죽음 준비교육이 노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현민(2001).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김형수(2000). 노인과 자살, 노인복지연구.
남현숙(2000). 성인의 죽음에 관한 태도와 죽음준비교육 요구분석.
이이정(2003). 노인학습자를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정경수(2006). 노인의 죽음 준비 교육을 위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3. 기타자료
http://www.adec.org
통계청자료 : http://www.nso.go.kr/newso/main.html
4. 번역서적
E. Kubler-Rose. 1985. 죽음에 대한 심리적 이해. 김인자 역.
Fulghum, Robert. 2000. 제 장례식에 놀러 오실래요? 이계영 역.
Lily Pincus. 1992. 죽는이와 남는이를 위하여. 이인복 역.
Paul Tournier. 1992. 퇴직과 노년의 심리학. 권명달 역.
Papalia, D. E, S. W. Olds, R. D. Feldman. 1992. 인간발달Ⅱ. 정옥분 역.
히구치 가즈히코. 1995. 죽음에의 대비교육. 이원호역.
<부 록>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과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인터뷰 질문지
- 사회복지기관 관련업무 담당자 귀하
안녕하십니까? 저희는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과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는 **대학교 ****학과 학생들입니다. 연구를 위하여 죽음준비교육과 프로그램의 담당자분께 인터뷰를 청하게 되었습니다. 본 인터뷰의 내용은 익명으로 활용되며 선생님의 답변과 정보는 본 연구 이외의 어떤 목적으로도 사용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성실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혹시라도 인터뷰 후에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거나 기타 사항에 대한 의문점이 계시다면 하단의 연락처로 연락해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el. 123-4567
H.P. 010-123-4567
<질문>
질문 keyword
- 우리나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 우리나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은?
- 우리나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 우리나라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점은?
- 우리나라 죽음준비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대안 및 해결은?
- 우리나라 죽음준비교육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복지 및 노인복지적 실천전략은?
- 우리나라 죽음준비교육에 적합한 새로운 복지제도나 복지사업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1. 현재 기관에서 하고 있는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과 프로그램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릴게요.
2. 지역 안에 있는 복지관이나 시민 단체들 등과의 연계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3. 복지관의 재정은 어떻게 확보하고 있습니까?
4. 복지관 사업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참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5. 프로그램을 위한 후원자 개발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6. 지역주민들에 대한 욕구조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7. 업무 수행과 관련해 인력의 전문성과 복지관 사업의 연관성에 대해서...
8. 종합사회복지관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개인적 의견을 말씀해 주십시오.
9.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죽음준비교육 기관은 얼마나 되는지?
예) 2005년 논문을 읽었는데 그 때까지도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10. 죽음준비교육(death education)은 국내논문의 참고문헌을 살펴봐도 70-80년대의 오래된 자료들이었다. 그렇다면, 외국은 이미 오래전에 활성화된 분야인가? 그리고 지금은 더 이상 새로운 이슈가 아니기 때문에 연구를 하고 있지 않는 분야인가?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3.18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5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