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정의와 특성,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 변천과 장점,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 현황, 과정, 프로그램,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 전통적수업과 비교, 제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정의와 특성,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 변천과 장점,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 현황, 과정, 프로그램,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 전통적수업과 비교, 제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정의와 특성

Ⅲ.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과 과학교육의 변천과정

Ⅳ.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장점

Ⅴ.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현황

Ⅵ.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과정

Ⅶ.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프로그램
1. SISCON(Science in a Social Context)
2. SATIS(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3. Project Synthesis
4. SciencePlus
5. Modular-Science/Technology/Society

Ⅷ.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전통적수업과 비교

Ⅸ.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에 대한 제언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회의 상호작용의 이해와 수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선 교사들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 수준에서 사용될 수 있다.
Ⅷ.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전통적수업과 비교
STS 수업은 독특한 수업 방식은 아니지만 전통적인 수업 방식과 비교하여 몇 가지 측면에서 약간의 특징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예거(Yager)에 따르면, 전통적 수업의 특징은 학생들의 입장에서 볼 때, 교사와 교과서에 의해 제공된 과학 정보에 초점을 둔 수동적 학습을 하게 되고, 교사들은 교과서에 기초하여 과학 현상을 주로 설명함으로써 학생들의 이해에 중점을 두지만, 교실이나 실험실 상황과 관련없는 정보의 이용에는 거의 관심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전통적 수업에서는 주로 강의, 시범수업, 질문법, 실험실 활동을 위주로 하여 수업이 진행되게 된다.
이에 비하여 STS 수업은 학생들이 문제 해결에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찾는 활동에 대한 과학과 기술의 영향에 관심을 가지고 그들이 미래에 선택할 직업이나 시민으로서 책임감에 대한 인식을 강조한다. 따라서 토론, 역할 놀이, 문제 해결법, 조사활동, 현장 실습, 연구 설계, 협동 학습 및 컴퓨터를 이용한 모의 실험 등 전통적 수업보다는 매우 다양한 형태의 수업이 진행되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실제 활동이나 구조화된 토론, 자료 분석, 문제 해결 및 의사 결정 등의 수업 방식이 많이 이용될 수 있다.
Ⅸ.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에 대한 제언
STS를 독립적인 교육 내용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점진적인 변화가 있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의 교육과정의 틀 속에 제시되어 있는 STS적 자연과 하위 목표(과학이 기술 발달에 영향을 끼치며, 우리 생활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알게 한다.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1994)를 달성해야 할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사 양성기관, 현장 교사 및 전문 기관에서 STS에 필요한 교수법, 자료 평가방안 및 학술활동을 통한 연구 후 STS적 접근으로 교육을 실천하여 그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며 점차적으로 STS 교육과정으로 발전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정부의 의욕적인 투자와 과학 교사들의 신념과 의지 그리고 STS를 지원하는 과학 교육학자들이 하나가 될 때 비로소 STS 교육의 실현이 가능할 것이다.
Ⅹ. 결론
STS 교육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STS 교육의 인식론적 기반이 되는 구성주의를 어떠한 시각에서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구성주의는 크게 사회적 구성주의와 개인적 구성주의로 나뉘어 논의되어 왔다. STS 교육이 그 이론적 기반을 사회적 구성주의에 두고 있기는 하지만, 지식이 학생에게 내면화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교육학적인 차원에서는 개인적 구성주의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STS 교육이 STS와 구별되어야 하는 것이 바로 이 점이다. STS 교육은 과학 기술과 사회의 관련성만을 다루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생 개인에게 내면화되는 과정까지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사회적 관련성과 개인적 관련성 모두를 논의에 포함시켜야 하며, 이것은 단순한 혼합이 아니라 통합된 구조 속에서 설명되어야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권재술, 학문중심 과학 교육의 문제점과 생활 소재의 과학 교재화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91
권용주, STS 교육운동의 역사적 고찰, 과학교육, 1992
조희형, 일반과학교육학, 교육과학사, 2003
최경희, 과학교육과 STS에 관한 중등교사들의 인식조사, 한국과학교육 학회지, 1994
한중흠, STS프로그램을 활용한 자연과 교수 효과,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 석사 학위 논문, 2000
허명, STS의 이론과 적용, 새교육, 1991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4.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29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