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표기법,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구조

Ⅲ.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표기법
1. 적용범위
2. 기술의 전거 순서
3. 각 사항별 으뜸전거
1) 서명저자 표시사항
2) 판사항
3) 발행사항
4) 형태사항
5) 총서명사항
6) 주기사항
4. 언어, 문자
5. 숫자
6. 약어와 약자
7. 오자, 오식, 탈자
8. 띄어쓰기

Ⅳ.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의 한계

Ⅴ.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Ⅵ.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1. 기본기술요소(Basic descriptive element)
2. 주제기술요소(Subject description)
1) 분류기호
2) 주제명

참고문헌

본문내용

처리하는데 해당 속성(‘ind1’, ‘ind2’)이 출현한 필드의 경우에는 그 값을 추출하고 속성이 없는 태그의 경우에는 빈칸을 그 값으로 할당한다. 다음으로 하위필드를 가리키는 태그들을 앞에서 기술한 내용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한다. 그리고 KORMARC의 식별기호 중 데이터요소 식별기호에 해당하는 문자를 추출하고 여기에 구분기호(‘$’)를 붙여 적절한 KORMARC 필드를 설정하게 된다.
실제 내용데이터는, DTD에서 ‘#PCDATA’로 선언된 경우에는 각 태그사이의 문자열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그리고 리더나 고정길이 데이터필드와 같이 ‘EMPTY’로 선언되고 ‘value’ 속성에서 그 값을 표현하는 경우에는 지시기호값 추출 때와 마찬가지로 문자값 구분기호인 인용부호를 기준으로 하여 그 내용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각 데이터그룹별로 변환작업이 완료되면 이를 완전한 KORMARC 형식으로 만들기 위해 각 필드의 길이와 시작위치를 계산하여 디렉터리를 구성한다. 작성된 디렉터리를 추가하고 변환된 데이터에 필드종료기호와 레코드종료기호를 붙여 최종적인 KORMARC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며, 일대일처리방식의 경우에는 구조정보 출력을 위해 kormarc2sgml 프로그램 수행 시 입력데이터 구조화에 사용되었던 동일한 프로시저를 이용해 변환된 데이터를 구조화한다.
Ⅵ.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과 미국문헌자동화목록법(USMARC)
1. 기본기술요소(Basic descriptive element)
MARC는 도서관 편목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세분화된 방법으로 다양한 서지데이터 요소를 다루고 있다. MARC의 필드 내용이 편목규칙을 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며 정보검색 목적을 위한 접근점을 제공해 주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필드 목록(content) 규칙은 AACR과 ISBD로 결정하였다. 그래서 1XX와 6XX(주제명 부출) 그리고 7XX Tag 목록(content) 범위는 기본기입, 부가기입 편목개념의 용어로 정의되었다.
게다가 USMARC 포맷은 전거통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1XX, 4XX, 6XX, 7XX, 8XX 필드 데이터가 전거통제 필드가 된다.
지금까지는 USMARC 데이터베이스를 네트웍 정보의 편목을 통합하기 위해 AACR2에 의한 서지데이터 요소를 기술하였다. 그러나 Intercat 프로젝트가 출현함에 따라 확장된 목록규칙과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게 되었다.
MARBI Discussion Paper No.88은 USMARC에서의 저자필드(1XX)를 정의하는 부분에서 문제를 제기되고 있다.
MARC에서는 이론상 모든 데이터 요소가 접근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표목의 여부와 무관하게 그 문헌과 관련된 어떤 데이터 요소를 사용해도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현행 목록규칙을 적용한 포맷에서는 기본표목을 통한 특정 문헌의 검색 결과가 불완전하고, 아울러 특정 저작의 상이한 판의 집중 기능이 불완전하여 레코드에 대한 이용자의 접근이 제약을 받게 되어 결과적으로 기본표목의 기능에 회의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1XX 필드는 전거통제용에만 사용할 것을 주장하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
그리고 USMARC에서도 필수데이터 요소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있다.
(1) 008(부호화정보필드)
(2) 020(ISBN)
(3) 040(레코드 작성기관)
(4) 042(레코드 검증기관)
(5) 050, 082, 086 (분류기호)
(6) 1XX필드(기본표목필드)
(7) 240필드(통일서명)
(8) 245-300필드(서명, 판표시, 형태기술필드)
(9) 4XX필드(총서필드)
(10) 5XX필드(주기사항)
500, 505, 533필드
(11) 6XX필드(주제명표목필드)
(12) 7XX필드(부출표목필드)
2. 주제기술요소(Subject description)
6XX tag를 통하여 또다른 통제된 표목구조(예를 들면 LCSH, MeSH등) 의거하여 주제어를 부가 기입하여 주는 요소이다. 650 tag을 위해 주제명 전거 포맷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USMARC에서 주제를 기술하는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분류기호
050 LC청구기호
055 캐나다에서 부여된 청구기호
060 NLM청구기호
070 NLA청구기호
080 UDC분류기호
082 DDC기호
084 기타 분류기호
090 자관의 청구기호
2) 주제명
600 - subject added entry -- personal name(R)
610 - subject added entry -- corporate name(R)
611 - subject added entry -- meeting name(R)
630 - subject added entry -- uniform title(R)
650 - subject added entry -- topical term(R)
651 - subject added entry -- geographic name(R)
653 - index term--uncontrolled (R)
654 - subject added entry -- faceted topical terms(R)
655 - index term--genre/form(R)
656 - index term --occupation(R)
657 - index term --function(R)
658 - index term --curriculum objective (R)
참고문헌
○ 강순애(2007), 한국 고문헌 정리에 있어서 고서용 한국문헌 자동화목록기술규칙 및 형식의 적용과 실제, 한국고전적보존협의회
○ 강숙희(2008),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 표목필드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 김수형 외 1명(2001),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KORMARC)의 XML 변환에 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 도태현(2002),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 관련 규칙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 사공철 외 3명(1992),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에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 이경호(1999), 한국문헌목록정보(KORMARC)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