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 관리방법] 소화기계 전염병(장티푸스,콜레라,세균성 식중독), 호흡기계 전염병(감기와 유행성 감기, 절지동물매개전염병), 일본뇌염, 동물매개전염병(렙토스피라증,브루셀라병,비브리오패혈증), 만성전염병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염병 관리방법] 소화기계 전염병(장티푸스,콜레라,세균성 식중독), 호흡기계 전염병(감기와 유행성 감기, 절지동물매개전염병), 일본뇌염, 동물매개전염병(렙토스피라증,브루셀라병,비브리오패혈증), 만성전염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각종 전염병 관리방법

I. 소화기계 전염병
1. 장티푸스
2. 콜레라
3. 세균성 식중독

II. 호흡기계 전염병
1. 감기와 유행성 감기
2. 유행성 감기
3. 절지동물 매개 전염병

III. 일본뇌염
1. 전파경로
2. 예방대책

IV. 유행성 출혈열

V. 동물 매개 전염병
1. 렙토스피라증
2. 브루셀라병
3. 비브리오 패혈증

VI. 만성 전염성질환 관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 경기도, 전라남도 등의 지역에서 발생하며, 전파경로는 주로 들쥐의 배설물로 배출된 병원체가 논밭에서 작업하는 농부의 상처에 침투됨르로써 감염되며 9-10월에 자주 발생한다.
초기 증상으로는 고열, 오한, 근육통과 두통, 구토증 등 감기증상이 있다가 경과되면 황달 증상과 폐출혈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 예방대책
논과 밭 등 들에서 작업할 때는 보호복, 고무장갑, 고무장화를 착용하여 피부를 보호하도록 하며 피부상처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작업 후에는 손발을 깨끗이 씻어야하며 전반적인 보건교육을 실사하도록 한다.
(2) 브루셀라병(Brucellosis)
브루셀라병은 gram 음성 구간균(coccobacilli)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병 군을 총칭하는 것으로 염소(brucella melitensis), 소(brucella abortus) 및 돼지(Br. suis)의 세가지 균주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것 역시 소, 돼지, 염소에게 유행하는 질병이며 이들 동물에 직접 접촉하거나 간접적으로 육류 특히 우유를 통하여 사람에게 전파된다.
잠복기는 7-21일이며 보통 10일 정도이고, 증상으로는 발열, 간 및 비장종대, 황달(jaundice), 폐렴, 고환염 등이 나타난다.
* 예방대책
브루셀라병에 감염된 가축의 도태, 우유의 저온산균(Pasteurization), 브루셀라 감염된 소의 경피 감염주의, 검역을 철저히 한다. 치료제로는 tetracycline, streptomycin이 유효하다.
(3) 비브리오 패혈증(Vibrio)
1979년 미국 질병 관리 센터에서 vibrio vulnificus로 균 이름이 명명된 후 세계적으로 해안가 지역에서 보고되고 있으나 큰 유행은 없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호남지방에서 속칭 피부괴질로 사회적 물의가 있었으며 1985년 여름에는 상당히 유행 되었었다.
병원체는 vibrio vulnficus이며, 갯벌에 서식하는 어패류(바지락, 고략, 피조개, 생굴, 미더덕, 낙지 등)가 병원소이다. 잠복기는 보통 20시간 전후이며 전파경로는 첫째, 원발성 패혈증군은 vibrio균에 감염된 어패류를 생식할 때 전파되며 특히 40대 이후 남자가 만성간염, 당뇨, 결핵 등 만성 소모성 질환으로 건강이 악화된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경구 침입한 균은 십이지장을 통하여 침입하여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급속히 퍼져나간다. 전신권태, 오한, 발열, 두통, 근육통으로 시작하여 20% 정도는 구토 및 설사도 병행한다.
발병 후 12시간 이내에 대부분 전이성 피부병소가 발생하여 괴사되며 혈관의 폐쇄로 괴저가 일어난다. 이러한 원발성 환자의 대부분은 간질환 환자였으며 대개입원 후 48시간 이내에 사망하였다. 치명률은 약 50%나 된다.
둘째, 상처감염군은 해수에 접촉하거나 어패류를 취급할 때 발생한 상처를 통해 균이 침입하여 상처 부위에 국소감염을 일으키는데 병변은 상처 주변에 발적, 종창이 급속히 퍼지며 수포와 괴사를 동반한다. 오한 및 발열이 나며 적절한 항생제 치료 등으로 회복이 되지만 만성질환이나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때는 패혈증으로 악화될 수도 있다.
VI. 만성 전염성질환 관리
(1) 간염(hepatitis)
간염이란 RNA 또는 DNA virus가 간세포에 침입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전염병을 말한다.
1/ 간염의 종류
A형 (viral or inpectious hepatitis), 바이러스성 혹은 전염성 간염
B형 (serum hepatitis, 혈청성 간염)
Non-A, Non-B형 (hepatitis type C)
dalta형으로 분류하지만 대부분 임상적으로는 A형과 B형으로 구분한다.
2/ 임상적 특징
* A형(전염성, 바이러스성 간염)
주로 어린 연령층에서 급성적을 발병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쉽게 회복이 가능하다. 증상으로는 발령, 전신권태, 오심, 식욕부진 및 복부 불쾌감 등 전신증상이 갑작스럽게 발생한다. 황달(jaundice)이 나타나 1~2주 경과 되기도 하고 수개월 지속되기도 한다.
* B형(serum hepatitis, 혈청성 간염)
치료하기가 쉽지 않으며 회복이 늦어 만성간염(chronic hepatitis)으로의 이환률이 높아 말기에는 간경변증(liver cirrhosis)이나 간암(liver cancer)으로 될 수 있기 때문에 치사율(death rate)이 높다. 증상은 식욕부진, 가벼운 복부 불편감, 오심, 구토 및 때로는 관절통이 잠재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중등도는 불현성 감염에서부터 급성 간괴사(necrotic liver)로 치명적인 경우까지 있다. 질병관리로는 환경위생 및 개인위생 교육을 시키며 환자가 사용했던 주사기, 바늘, 식기 등을 철저치 소독한다. 환자를 특별히 격리시킬 필요는 없다.
면역은 간염 백신(hepavax B) 한다. 질병 관리 방법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혈액제제를 사용한다. 공혈자의 혈액이나, 혈액제제의 제조과정에서 철저한 검사를 실시하도록 한다. 또한 주사기, 바늘(syringe & needle)의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
3/ 치료(treatment)
* A형
환자에 대한 특별한 치료는 없다. 감염의 위험성이 높은 환경을 개선하고 수건이나 식기, 칫솔, 면도기 등을 위생적으로 매인별로 관리하도록 한다.
유행이 발생할 경우 음식물이나 혈액제를 조사하여 감염물을 확인한다. 위생상태에 특별히 유의하도록 하며, 음식물, 음료수를 철저히 소독하도록 한다.
발병 후에는 안정(rest)을 취하고, 적절한 항생제 요법과 고단위 영양식(high protein, high carbohyate)을 투여하도록 한다.
* B형
특별히 환자의 배설물, 환자가 사용했던 의료기구(체온계, 주사기, 바늘 등) 등을 철저하게 소독한다.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6.08.17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7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