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성 식중독] 화학적 식중독(식품첨가물, 유해금속물, 식기류, 포장, 농약에 의한 중독, 곰팡이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화학성 식중독] 화학적 식중독(식품첨가물, 유해금속물, 식기류, 포장, 농약에 의한 중독, 곰팡이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화학적 식중독

I. 식품 첨가물에 의한 중독
1. 유해성 착색료
2. 유해성 보존료
3. 유해성 표백제
4. 유해감미료
5. 산화제

II. 유해 금속물의 오염에 의한 중독

III. 식기류, 용기 및 포장에 의한 중독

IV. 농약에 의한 중독

V. 곰팡이 독
1. aflatoxin(아플라톡신)
1) 생산요인
2) 종류 및 특성
3) 아플라톡신의 농산물 오염
4) 아플라톡신의 독성
5) 각국의 허용기준
2. 황변미 중독

* 참고문헌

본문내용

살충제, 제초제 및 살서제로서, 점차 중대되는 내성에 대비해서 더욱 독성과 침투성, 잔류성이 강한 농약의 개발로 인해 매년 인축의 피해가 늘어가고 있다.
V. 곰팡이독
곰팡이독(mycotoxin)은 특정한 곰팡이가 생산하는 유독성 대사생성물로서 사람을 비롯한 고등동물에게 특수한 질병이나 생리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이며 현재까지 100여 종류가 알려져 있다. 이 물질들의 장애는 다양하여 동물에게 간경변이나 간종양을 일으키는 간장독, 급만성의 신장장애를 일으키는 신장독, 뇌나 중추신경계에 장애를 일으키는 신경독, 피부염 특히 안면습진을 일으키는 광과민성 피부염 물질을 비롯하여 심장독, 위장독, 조혈조직 장애물질, 발정 유발물질 등 여러 가지의 증상을 나타낸다.
(1) aflatoxin
1) 생산요인
Aspergillus flavus와 Asp. parasiticus가 생산하는 곰팡이독(mycotoxin)으로서 지금까지 알려진 천연물질 중에서 가장 강력하게 간암을 유발시키는 발암물질이다. Asp. flavus 및 paraciticus의 생육조건은 상대습도 80% 이상, 수분활성 0. 8 이상, 온도 20-25'C 이상에서 잘 생육되며 다른 미생물이 존재하면 아플라록신을 소량 생산하거나 생산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Aspergillus속 곰팡이는 세계 각지에 널리 존재하나, 아플라톡신을 생산할 수 있는 균의 분포는 일반적으로 아열대지밤에 많고 온대지방에는 적다.
그림. 아플라톡신 종류와 아플라톡신 B1의 대사체
2) 종류 및 특성
아플라톡신의 종류는 B1, B2, G1, G2 및 M1, M2 등 간장독으로서 17종의 동족체가 알려져 있으며 B1은 B2, G1, 보다 독성이 강하고 옥수수, 땅콩, 면실을 포함한 각종 농산물(주로 곡류, 두류)에서 자주 검출되며 보통의 식품가공이나 살균처리로 파괴되지 않는다. 아플라톡신 B1은 동물체내에서 대사에 의해 아플라톡신 M1과 M2로 전이되어 우유에 유래되므로 milk toxin이라고도 하며. 아플라톡신 M1은 아플라톡신 B1에 버금가는 진균독소로 간장의 산화효소에 의해서 아플라톡신 Bi에서 아플라톡신 M1으로 전환된다.
아플라톡신은 건조한 상태에서는 용융점까지의 가열에도 열에 안정적이나, 수분존재, 강산 및 강알카리, 산화제, UV와 X-ray 조사 등에 불안정하다.
아플라톡신은 분해온도가 B1 270‘C, M1 300'C정도로 내열성이 크며, 통상의 가열조리 방법으로서는 완전 분해되지 않는다.
3) 아플라톡신의 농산물 오염
농산물의 개화기에서 수확기까지의 사이에 이상 기후 또는 조직의 손상에 의하여 오염된다. 가장 오염될 가능성이 높은 것은 옥수수와 땅콩이며, 수수, 조 등의 잡곡, 쌀, 보리 등이며 된장 발효에 주로 관여하는 Asp. oryzae는 아플라톡신 생산균주와 비슷한 색깔 및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이 균은 아플라톡신을 생산하지 않는다.
4) 아플라톡신의 독성
아플라톡신의 동물에 대한 급성독성은 아플라톡신 B1이 가장 강하고 M1, G1, B2, G2 및 M2 순이며, 아플라톡신 B1의 rat 및 다른 실험동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매우 강력한 간암 유발물질이라고 알려져 있다.
5) 각국의 허용기준
우리나라에서는 식품 중에서 곡류, 두류, 땅콩 및 그 가공품에 대해서만 아플라톡신 M1을 10ppb 이하로 규제하고 있을 뿐, 유제품에 대한 아플라톡신 M1의 규제치는 아직 설정되어 있지 않다. 아플라톡신의 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국에서는 식품위생상 잔류허용 기준을 설정 규제하고 있으며 FAO/WHO에서는 세계식량사정을 감안하여 국제적 허용기준으로 30ppb를 설정하고 이 기준을 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결론을 내린 바 있다. 현재 식품과 사료중 아플라톡신에 대한 잔류허용 기준은 약 50여 개국에서 규제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아플라톡신을 20ppb까지 내려 운영하고 있다.
(2) 황변미 중독
추수 후 건조가 불충분한 때에 특히 Penicillium 속의 곰팡이가 발육하여 황변미가 생성되며 발육하는 균은 3가지(P. citrimum. P. islandicum. P. toxicarium)가 알려져 있다.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5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6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08.25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73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