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TA - FTA 체결 후 국내 유기농 및 친환경 식품의 대응전략 ( FTA의 정의, 한중 FTA, 중국 친환경 유기농 식품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FTA - FTA 체결 후 국내 유기농 및 친환경 식품의 대응전략 ( FTA의 정의, 한중 FTA, 중국 친환경 유기농 식품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

Ⅰ. FTA의 정의 및 한중 FTA 배경
Ⅱ. 연구 목적 및 필요성
Ⅲ. 중국 내 시장상황 및 기회 요인
1. 중국 친환경 유기농 식품의 개념 및 특징
2. 중국 내 유기농 친환경 식품 시장 현황
Ⅳ. 국내 친환경 및 유기농 농산물의 대응전략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1) 2014 7.1 한·미 유기가공식품 상호 동등성 인정 협정 체결
1. 동등성 인정 국가명 : 미국
2. 인정 범위
가. 한국(또는 미국)의 규정에 따라 유기인증을 받고, 양국 내에서 최종 가공된 식품
나. 가공식품의 범위는 한국의 식품공전상의 분류기준 적용
다. 유기원료가 95% 이상 함유된 제품
3. 동등성 인정의 유효기간 : 별도 협의 시까지
4. 동등성 인정의 제한 조건
가. 항생제(스트렙토마이신, 테트라시클린)가 사용된 사과·배가 원료로 사용된 제품은 한국에서, 항생제를 사용한 축산물이 원료로 사용된 제품은 미국에서 각각 유기표시 불가
나. 화학합성농약, 유전자변형농산물, 방사선조사 등 금지된 물질(방법)은 사용할 수 없으며, 통관 및 유통과정에서의 금지물질에 대한 검사 및 후속조치는 수입국의 규정 적용
다. 라벨에 대한 표시사항은 수입국의 규정 적용
2) 한-EU 유기가공식품 상호 동등성인정 협정(2015.2.1. 발효)
1. 동등성 인정 국가명 : 유럽연합(EU)
2. 인정 범위
가. 한국(또는 유럽연합)의 규정에 따라 유기인증을 받고, 양국 내에서 최종 가공된 식품
나. 가공식품의 범위는 수입국의 분류기준 적용
다. 유기원료가 95% 이상 함유된 제품
3. 동등성 인정의 유효기간 : 2018년 1월31일 까지
4. 동등성 인정의 조건
가. 화학합성농약, 유전자변형농산물, 방사선조사 등 금지된 물질(방법)은 사용할 수 없으며, 통관 및 유통과정에서의 금지물질에 대한 검사 및 후속조치는 수입국의 규정 적용
나. 라벨에 대한 표시사항은 수입국의 규정 적용
위와 같이 두 협정 규정이 상당부분 흡사한 사례를 들어 향후 한.중이 상호 동등성인정 협정을 체결할 경우 앞선 두 협정과 공통분모가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중국과의 협정은 공통된 스탠다드의 구축이라는 면에서도 필요할 실정이다. 유기가공식품 인증비용에 대한 부담을 해소하고 급증하고 있는 중국 유기가공 식품 시장에 대한 지원 시스템을 갖추어 중장기적인 수출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3. 안정성 위주의 마케팅
한.중 유기가공식품 상호동등성 체결 유무에 관계없이 중국 정부가 인정하는 유기농 인증을 미리 획득하여 제품의 안정성 및 청결함을 사전에 입증할 필요가 있다. 특히 농축산 등 제 1,2차 산업의 경우는 필수적일 것이다. 성장하는 수입식품 시장에 발 맞춰 법규가 점차 보완되고 강화되어 가는 현 상황에서 중국 내부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관련 법규의 준수 및 사전 예측이 필요할 전망이다. 또한 소비자 계층별, 수이별 등으로 소비구조를 세분화하여 선호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Ⅴ. 결론
유기농 인증 혹은 동등성 인정 협정 체결 이후 특정 제품시장을 노릴 필요가 있다.
유기농 및 친환경 제품 수요의 지역적 편차가 있기에 지역적 특성 및 수요를 고려한 유통망 구축을 할 필요가 있다. 식품안전에 사고와 불신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중국 내 상황에서 한국 제품의 식품안전성을 적극 홍보해 녹색시장 활로를 개척해야 한다. 중국에서 유기농 식품의 보급이 더뎌지고 있는 이유는, 유기농 식품은 비싸서 소수만 먹는다는 인식이 있고 또 중국 소비자의 소비 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이용한 상품의 브랜드화 및 고급화 등 차별화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한국 유기농제품의 안전성, 철저한 관리와 합리적인 가격 등 우수함을 부각시킨다면 한국 제품이 중국 유기농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조 문헌>
중국의 무공해농산물, 녹색식품, 유기식품 인증제도
FTA_발효_이후_우리나라_농산물_교역의_영향과_평가
동등성과 제인쇄용원고
한ㆍ중_FTA의_배경_및_효과에_관한_연구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6.10.15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5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