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주석(시편 23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약주석(시편 23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본문
가. 히브리어 본문
나. 본문(대조)
2. 본문 사역의 해설
3. 본문의 배경
4. 본문의 구조
5. 시편 23편의 해석방법들
가. 양식사적 접근
1) 본문의 양식
2) 삶의 자리(Sitz im Leben)
나. 본문비평적 접근
다. 수사비평적 접근
라. 전승사적 접근

Ⅲ. 결론

* 참고도서

본문내용

파악하고자 하였기 때문이었다.
수사비평적 접근
또한 수사비평적인 방식을 통하여서 우리는 시편 23편을 다음과 같은 양식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수사비평은 전체적인 양식을 바라보는, 그에 따른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미학(美學)비평이라고도 여겨지는 바이다. 시편 23편은 글의 형식상 크게 둘로 나누어진다. 여호와를 3인칭으로 언급하는 서술/고백 (1,2,3,6절)과 그 여호와를 2인칭으로 하여 이야기하는 고백기도 (4-5절)가 그것이다. 우리는 시편 23편의 구조를 다음과 같이 바라보자.
a 여호와(나의 목자)
b 풀 밭
a' 그의 이름
b‘ 잔칫상
a 여호와(여호와의 집)
이러한 구조(1,2-3,4-5,6절)는 수사학적으로 교차 대구적(Chiastic Structure)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a-a, b-b’으로 대구를 이루고 있으며 이 말은 a’이라는 ‘여호와’의 이름을 중심으로 두고 구조를 이루고 있음이 중요하다. 특히 a 라는 ‘여호와’로 시작과 마지막을 감싸고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전승사적 접근
프리드만은 전승사적인 이해를 가지고 시편을 해석했다. 그는 우선 4절까지 이어지는 목자의 이미지가 5절에서 주인의 이미지로 바뀌는데 이것을 각 부분의 조합으로 여기거나 전체를 하나의 시라고 해석하는데서 어려움이 일어난다고 지적하였다. 그는 이 어려움을 해결할 하나의 새로운 방안을 전승사적 이해에서 찾았다. 그는 시편 전체가 하나의 특정 주제와 관련이 되어 있는데, 그것은 애굽으로 부터의 탈출이라는 주제라고 밝혔다. 만약 시편 23편의 내용들이 출애굽 전승에 뿌리박고 있다고 한다면, 시인은 출애굽 전승으로 내려온 과거 조상들의 경험을 자신에게 적용시켜 개인적인 경건을 고취시키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 주제를 증면하기 위하여 이 시편의 각각의 표현들과 상응하는 출애굽 전승을 담지한 많은 병행구절들을 제시하고 상세하게 주석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의 결론에 이르게 된다. 첫째는 이 시편이 출애굽, 광야, 정착 전승이라는 이스라엘 신앙의 주요한 전승에 뿌리박고 있다는 점, 둘째는 이 시편이 순수 고어체로 되어 있다는 점, 셋째 이 시편이 포로시대에 쓰이는 독특한 단어와 사상과 유사성을 가진다는 점이다. 이 결론을 가지고 그는 바벨론 포로 귀환 당시의 예언서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이 시편이 주전 6~7세기에 지어졌으며, 이 시편 전체가 출애굽과 광야 전승을 기념하는 축제와 연관성이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그는 이 시편 전체가 출애굽, 광야 전승으로 통일되어 있다고 주장하는데서만 그치고, 5~6절의 분위기 반전이 이 시편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답변은 제시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바레와 크젤만은 프리드만의 이론을 지지하면서도 그의 이론을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가장 약점인 하반절의 분위기 급반전 문제인데, 그들은 “반어적 병행법”을 사용한 구절들을 성경에서 제시함으로 고대 근동 문헌의 병행구절까지 예로 들면서 그들의 이론을 증명하였다. 결국 시편 23편은 주전 6~7세기경에 출애굽 전승, 광야 전승, 다윗 전승을 새로운 출애굽, 광야, 다윗 전승으로 재해석하여 노래한 시편이라는 것이다. 바레와 크젤만의 이 결론은 분명히 프리드만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이다.
Ⅲ.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시편 23편에 대하여 히브리어에 대한 사역과 해석, 여러 가지 비평 양식들로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살펴 본 많은 방법론적인 노력들을 통하여 시인의 상황과 시가 기록되어진 배경을 올바로 찾으면 시편의 정신을 올바르고 선명하게 바라볼 수 있으며, 그 내적인 성격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 외에도 그 본문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시도를 통하여서 그 본문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시편 23편이라는 본문의 본래의 모습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한 것이지, 우리가 찾아가고자 했던 목적과 의미를 상실하면 안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많은 비평 양식들이 존재하고 있고, 현재도 이루어지고 있는 모든 과정들 속에서 우리는 주의해야 하는 것은 주객전도(主客顚倒)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특히나 성경 본문의 본래의 의미가 상실되지 않는 선에서 본문을 바라보려는 시각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렇게 균형 잡힌 자세와 시도가 이루어 질 때, 성경은 우리들에게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하게 이야기 할 것이며, 우리도 그 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도서 :
에른스트 뷔르트봐인, 방석종(역), 『성서본문비평입문』, 대한기독교서회, 1987
방석종, 『구약해석 입문서』, 성광문화사, 1992
방석종, 『성서와 역사비평해석』, 한우리, 2006
박명곤, 『히브리 성서와 현대의 해석자들』,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6
Page H. Kelly, Daniel S. Mynatt, Timothy G. Crawford, 강성열(역), 『히브리어 성서(BHS)의 마소라 해설』, 비블리카 아카데미아, 2005
John H. Walton, Victor H. Matthews, Mark W. Chavalas, 정옥배, 이철민, 신재구, 이지영(역) 『IVP 성경 배경 주석』, 한국 기독학생회 출판국, 2001
피터 크레이기, 손석태(역), 『Word Biblical Commentary 시편 上』, 솔로몬, 2000
강병도, 『카리스 종합 주석』, 기독지혜사, 2011
A. 바이저, 안병무(역), 『국제성서주석』, 한국신학연구소, 1992
왕대일, 『구약주석 새로 보기』, 감신대성서학연구소, 2005
이성렬, 「시편 23편의 주석적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류행열, “시편 23편 소고”, 『신학이해』, 16. 호남신학대학교, 1998
차준희, “야훼는 나의 목자시니”, 『기독교 사상』, 대한기독교서회, 1998.6
김정우, “시편 23편 : 그 아름다움과 은혜”, 『신학지남』, 신학지남사, 1997 여름
정학근, “나는 부러울 것 없어라”, 『신학전망』, 139. 광주가톨릭대학교, 2002 겨울
Gruber, Mayer I., 『Rashi's Commentary on Psalms』, Jewish Pubn Society, 2008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11.10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38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