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습-고분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인의 내세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 연습-고분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인의 내세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불교적 내세관
1. 불교사상의 유입
2. 고분벽화에 나타난 불교적 요소
Ⅲ. 도교적 내세관
1. 도교사상의 유입
2. 고분벽화에 나타난 도교적 요소
Ⅳ. 내세관의 변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소머리를 한 농업신, 창조신이자 해와 달의 신, 중국의 신인 복희 삼황 중 처음인 왕으로 중국의 전설 속 인물이다. 인간에게 수로와 어로를 가르쳤다고 한다.
와 여와 복희의 아내로 남녀 중매의 신이다. 남녀 간의 예의를 가르치고 관장한다.
등이 그려진다. 이러한 벽화내용은 도교사상의 확산과 관련 있는데, 선인들이 하늘에서 내려와 인간세계를 다스리다가 죽어서 다시 하늘로 올라가는 신화적 내용과 연결되어 무덤 주인은 신화적 인물에 가까운 고귀한 존재로서 사신에 의해 지켜지는 것이다.
승선적 내세관으로 인해서 신선의 비중이 증가된 반면에 불교적 내세관을 표현한 요소들은 오히려 사라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것은 선계관념에 정토관념이 더해진 선불 혼합적 내세관의 표현인 것이다.
Ⅴ. 맺음말
이상으로 고분벽화를 통해서 고구려인의 내세관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고분벽화는 단순히 무덤장식을 위한 그림이 아니라 그 당시 고구려인들의 죽음에 관련된 것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제 1기에 해당되는 3세기 말에서 5세기 초에는 계세적 내세관으로 영혼의 불멸을 믿어서 죽은 후에는 지상이 아니라 고구려 조상이 살고 있다는 천상에 산다고 믿었다. 그렇기 때문에 후장을 통해서 무덤에는 화려한 껴묻거리와 생전의 저택의 모습을 그대로 무덤의 모양으로 재현해 죽은 후에도 그 부귀영화를 그대로 누리기 바라였기 때문에 무덤 조성에 많은 정성을 쏟았다.
제 2기에 해당되는 5세기 중반에서 6세기 초에는 고구려 체제정비 과정에서 주목받게 된 불교를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전생적 내세관을 가졌다. 전생적 내세관은 5세기에 절정을 이루는데, 이 시기 고분벽화에는 연꽃공양예불보살 등 불교적 요소들이 그려졌다.
이는 죽은 자가 불교에서 말하는 최고의 경지인 정토에서 태어나 살기 원했기 때문이다. 제 3기에 해당되는 6세기 중반에서 7세기는 왕권 약화로 인해서 불교에 대한 왕실의 후원이 적어지는 가운데 연개소문이 강력하게 도교사상을 국가적 차원에서 받아들이기 주장하면서 도교적 내세관인 승선적 내세관이 성립하게 된다.
도교로 인해서 무덤을 안치하는 곳은 풍수지리적으로 좋은 곳이면 무덤을 수호하는 방위 사신이 유일한 주제로 나타난다. 거기에는 선불 혼합적 내세관으로 인해서 하늘을 날아다니는 천인이 많이 그려지는데, 이는 불교에서는 비천이라고 볼 수 있고, 도교에서는 신선이라고 볼 수 있는 존재이다.
고구려는 지리적 요소로 인해서 중국의 문화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입장에서 중국의 종교사상을 지속적으로 유입하여 그 종교들이 제시하는 죽음에 대한 교리가 고구려인의 내세관 성립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고구려인의 고분벽화는 이를 증명하는 그림이며, 산자가 죽음에 대해서 생각했던 죽은 자가 가기 원했던 내세에 대한 총체적 표현임이 틀림이 없다.
■ 참고문헌
1. 사료
『三國史記』
2. 단행본
역사문제연구소, 1994 『역사비평』역사비평사
연합뉴스, 2006 『高句麗古墳壁畵』연합뉴스
전호태, 1999『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이야기』풀빛
전호태, 2000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사계절
전호태, 2004 『벽화여, 고구려를 말하라』사계절
전호태, 2004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서울대학교 출판부
전호태 외4, 2005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고구려연구재단
장세현, 2005 『벽화 속에 살아있는 고구려 이야기』삼성출판사
정호섭, 2009 『고구려 고분의 造營과 祭儀』서경문화사
3. 논문
박미애, 2002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生活과 信仰」한남대학원 석사논문
박종수, 2004 「高句麗 古墳壁畵의 宗敎的 意味에 대한 硏究」한신대학원 석사논문
안영숙, 2001 「高句麗 四神系 古墳壁畵의 陰陽五行思想」숙명여자대학교 석사논문
왕광석, 1986 「高句麗의 道敎思想에 대한 硏究」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이경실, 2006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연화의 양식적 특성과 상징성에 관하여」대구대 박사논문
이부실, 1995 「고구려 고분벽화에 대한 연구」동국대학교 석사논문
이선영, 2009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천상세계」홍익대학원 석사논문
이재희, 1998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5세기 고분벽화 중심으로」성신여자대학교 석사논문
전호태, 1997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 내세관 표현을 중심으로」서울대학원 박사논문
조병기, 2001 「고구려 고분벽화의 내세관 표현에 관한 연구」대구대학원 석사논문
조우연, 2005 「5세기 초 고구려 고분벽화에 반영된 사후관」인하대학교 석사논문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05.29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65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