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서양문화C형+국내의 공공조형물(공공미술)의 사례를 들어,공공미술이 사회 속에 지닌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논하시오 2017년 2학기 현대의서양문화 중간과제물레포트 현대의서양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의서양문화C형+국내의 공공조형물(공공미술)의 사례를 들어,공공미술이 사회 속에 지닌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논하시오 2017년 2학기 현대의서양문화 중간과제물레포트 현대의서양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공공미술
(1) 공공미술의 개념
(2) 공공미술이 되기 위한 조건
2. 공공미술의 유형
(1) 기능적인 공공미술
(2) 조형적인 공공미술
(3) 협동적인 공공미술
3. 공공미술이 사회 속에 지닌 의미와 기능
4. 국내의 공공조형물(공공미술)의 사례
(1)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2) 프로젝트 현장
(3) 현장 프로젝트
5.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가 사회 속에 지닌 의미와 기능
(1) 도시 특성을 반영한 공공미술
(2) 메시지를 전달하는 공공미술
(3) 소통 매개체로서 공공미술
(4) 도시 학습관으로서의 역할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는 대조적으로,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역사와 문화, 경제적 인센티브와 기술을 다차원적인 경험 및 정보 네트워크로 끌어들일 수 있다. 플레이어블시티, 뮤직시티, 뇌파산책, 소릿길 등의 프로젝트 및 그 외 서울의 다양한 모빌리티 프로젝트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보행은 걷고 싶은 도시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서울의 도시구조 속으로 깊이 파고들고 있다.
5.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가 사회 속에 지닌 의미와 기능
(1) 도시 특성을 반영한 공공미술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 도시 계획 속의 미술의 개념에서 효과적인 공공미술로 도시미관을 표현했다고 할 수 있다. 도시의 환경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작품을 계획하는 것은 공공미술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일 이라 할 수 있다.
(2) 메시지를 전달하는 공공미술
공공미술이 가진 가장 큰 특징은 공공의 공간에서 예술이라는 장르를 도입하여 메시지를 가진 작품을 통해 작가와 시민이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서울이라는 도시가치를 통해 도시환경 속에서 희소성을 나타내고 그 가치는 더욱 평가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뚜렷한 메시지와 상징성을 가진 서울이라는 도시를 공공미술로서 대중들에게 있어서도 깊은 인상과 감동을 줄 수 있으며 도시를 평범하지 않게 만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3) 소통 매개체로서 공공미술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 공공미술로서 창작 활동이 단순히 개인적 표현행위를 넘어 사회적정체성의 형성과 집단적 유대감, 상호 이해와 존중을 통한 공존과 공동의 목표를 추진, 실천한다. 또한, 대화, 공동협력, 탐방과 답사, 조사연구, 지역주민과의 만남, 공동제작 등의 활동을 통해 공동체의 화합과 향상을 지향한다.
(4) 도시 학습관으로서의 역할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 공공미술로써 미적 효과를 위한 오브제의 역할에서 벗어나 공동체와의 소통을 위한 매개체의 역할로 다양한 학습 매체와 표현방법을 제공해 주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관람자, 참여자들이 공공미술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성립해 나갈 수 있고 제대로 된 학습의 자료로서 공공미술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Ⅲ.결 론
국내의 공공조형물(공공미술)의 사례를 들어, 공공미술이 사회 속에 지닌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생각할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공공미술의 유형은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기능적인 공공미술은 조형성과 더불어 일상생활 속에서 기능적으로 쓰임이 가능한 공공미술 작품을 뜻한다. 그리고 공공미술은 대중에게 시각적 즐거움을 향유하는 동시에 도시 전반에 걸쳐 활기를 불어넣는 공공미술 작품 또는 상징적인 기념물을 말할 수 있다. 또한 공공미술은 협동적 미술로서 미술이 대중의 삶 속으로 들어가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대화하며 소통하는 예술로서 지하철 프로젝트, 도시재개발 사업 등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협동적인 공공미술에서 어린이들의 참여를 통한 제작을 이루어내고 작품을 이용해 어린이들과 작가의 염원을 이야기하는 소통적인 프로젝트로 만들어 내기도 한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가 서울과 세계 도시들의 미래를 그려낼 플랫폼을 가지고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와 돈의문박물관 마을에 마련되었다. 이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 공공미술로서 도시 특성을 반영한 공공미술로 도시의 환경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작품을 계획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서울이라는 도시가치를 통해 도시환경 속에서 희소성을 나타내고 그 가치가 더욱 평가 받을 수 있도록 했다고 본다.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 공공미술로서 상호 이해와 존중을 통한 공존과 공동의 목표를 추진, 실천되어 미적 효과를 위한 오브제의 역할에서 벗어나 공동체와의 소통을 위한 매개체의 역할로 대부분의 관람자, 참여자들이 공공미술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성립해 나갈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Ⅳ.참고문헌
맬컴 마일스 (박상철 역), 미술, 공간, 도시, 학고재, 2001
김정락(외), 현대의 서양문화, 방송대 출판문화원, 2011
선진솔.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김영배,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공공미술 현황과 발전방향 연구 : 서울시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4
김재경, 도시외부공간 공공미술 설치개선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pp.19-20
황혜영, 서울시 도시 게릴라 프로젝트를 활용한 공공미술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09.02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23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