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Piaget 인지발달단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Piaget 인지발달단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Piaget이론의 기본입장

II. Piaget의 인지발달단계
1. 감각운동기
2. 전조작기
1) 상징적 활동의 증가
2) 중심화
(1) 자기중심적 사고
(2) 직관적 사고
1/ 보존개념
2/ 유목포함
3) 개념발달
(1) 분류개념
(2) 서열개념
(3) 공간개념
(4) 인과개념
4) 실재론
5) 최근 전조작기 인지발달에 대한 연구
3. 구체적 조작기
4. 형식적 조작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에 물리적인 속성을 부여하는 전조작기 아동 특유의 현상개념 을 뜻한다. 예를 들어, 유아에게 '생각(thinking)'이 무엇인가를 물으면 '머리 뒤쪽에 있으면서 앞쪽에 있는 입을 향해 이야기하고 있는 입'이라고 답함으로써 정신적 현상을 물질적 실재로 그려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유아의 실재론적 사고가 가장 잘 나타나는 것이 '꿈'에 대한 아동의 생각이다. 이 시기 유아는 자신이 꾼 꿈의 내용이 실제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꿈속에 등장한 사람들은 깨어난 후에도 그 꿈의 내용을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간밤에 도깨비가 자신을 잡으려 할 때 아버지가 나와서 도깨비 잡는 꿈을 꾸었다면 유아는 깨어나서도 실제로 그런 일을 겪었다고 생각하여 아버지도 그 내용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6~7세 경에 구체적 조작기가 되어서야 아동은 실재론적 사고에서 벗어나 정신적 현상과 물리적 현상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도덕적 판단도 실재론에 의존하여 판단한다. 이 시기의 유아는 놀이에서 규칙이란 변할 수 없고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이라고 믿으며 행위에 대한 결과여부에 따라 잘못한 정도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어머니를 도우려다 컵을 세 개 깬 아동과 어머니가 몰래 숨겨둔 과자를 찾다가 한 개의 컵을 깨뜨린 상황에서 이 시기 유아들은 행위가 일어난 동기보다는 행위의 결과를 보고 세 개의 컵을 깬 아동이 더 많은 잘못을 했다고 판단한다.
5) 최근 전조작기인지발달에 대한 연구
Piaget 이후의 전조작기인지발달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Piaget가 제시한 것보다 훨씬 인지발달이 앞서 있다는 사실들을 여러 연구에서 입증하고 있다(Gelman & Baillargeon, 1983 ; Shaffer, 1993). 이들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Piaget가 전조작기 아동의 인지발달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결론 내리면서 이렇게 과소평가하게 된 원인을 3가지로 지적하고 있다.
첫째, Piaget의 자료수집 방법의 문제이다. Piaget가 주로 준임상적 면접에 의해 아동의 내재적 사고를 진단해낸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준임상적 면접은 지나치게 아동의 언어적 설명에 의존하므로, 언어발달이 완전하지 못한 입학 전 아동들은 자신의 생각을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Piaget가 사용한 과제들이 아동이 처리하기에 너무 많고 복잡한 정보처리 부하량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의 정보처리적인 입장에서 아동의 인지발달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서 특히 이러한 비판의 소리가 높다.
과제를 단순화시키면 우리나라 4-5세 아동의 63%가 공변관계에서의 인과추론이 가능하다는 보고(권오식, 1994)도 한 가지 예가 된다.
셋째, Piaget가 사용한 과제나 방법의 생태적 타당성(ecological validity)의 문제이다. 입학 전 아동들은 자신의 일상적인 경험 속에서 접하는 친숙한 대상이나 상황이 아닌 경우에 자신의 인지적 역량을 드러내기 힘들다.
아동에게 친숙한 장난감이나 자연적 상황에서 공간지각을 진단하거나, 나무토막이 아닌 과자로 보존개념 형성 여부를 실험하면 그 획득시기가 빨라지는 것(Borke, 1975 ; Cuneo, 1980)은 도구의 생태적 타당성에 기인하는 것이다.
(3) 구체적 조작기
구체적 조작기로 접어들면서 체계적인 논리적 사고가 발달된다. 따라서 구체적 조작기 아동은 여러 형태의 조작에 의한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이 가능해진다. 구체적 사고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가역성의 획득과 탈중심화이다.
그러나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이 전조작기 아동보다는 추론과 문제해결 논리에 있어 발달되었다고는 하지만, 이들은 현재의 구체적 사물과 관계에서만 이러한 논리적 사고가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이 시기의 논리적 사고를 구체적 조작(concrete operation)이라고 한다. 양 보존과 수 보존이 가능하고, 여러 사물들을 분류하고 서열화할 수는 있지만, 그 대상이 추상적인 것이거나 가설적 명제, 상상적 사건 등일 경우에는 논리적 사고가 불가능한 것이 제한점이다.
(4) 형식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formal operational) 사고는 앞 단계에서 제시된 모든 지적 능력을 포함하면서 구체적 사물에 대한 의존 없이도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전제로 결론을 도출하는 명제적 사고와 각 변인 간을 상호 통합하는 결합적 분석 및 형식논리에 의해 사고를 전개하는 추상적 추론능력을 의미한다.
구체적 조작사고가 일차적 관계 사고라면 형식적 조작사고는 이차적 관계사고이다. 따라서 이들 조작과정을 통해 문제해결이 가능한 12세 이후의 아동들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의 시기를 의미한다(Inhelder & Piaget, 1958).
형식적 조작기의 아동은 문제가 제시되었을 때 가장 타당한 해결방안 내지 정답을 찾기 위해서 먼저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방법들을 인출하여 그것을 차례로 검토해 본 다음, 결론을 내리는 종합적인 사고(combinational thought)가 가능하며, 제시된 문제에 내포된 정보 내지 자료에서 어떤 하나의 가설을 도출하여 그 가설에 입각해서 결론 내지 해결방안을 논리적으로 연역해 낸다. 만일 연역적 사고과정에서 논리전개에 잘못이 발견되면 청소년들은 몇 번이고 가설을 바꾸어 가면서 사고를 전개해 나가는 가설 검증적 사고(hypothesis-testing thought)뿐만 아니라 주어진 상황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명제를 구성하고 이들 간에 존재하는 논리적 관계성을 따져볼 수 있는 명제간 사고(interpropositional thought)도 가능하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7.09.04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26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