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치료이론, 행동치료의 장점과 학습이론의 개념정의,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행동치료기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동치료이론, 행동치료의 장점과 학습이론의 개념정의,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행동치료기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행동치료의 이론적 입장

II. 행동치료의 용이성

III. 학습이론에 대한 이해
1. 고전적 조건형성(고전적 조건화)
2. 도구적 조건형성(조작적 조건화)

IV.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와 기본적 전략
1. 문제행동을 학습된 것
2. 현재 환경과의 관련성을 중요하게 생각
3. 문제행동 발생 직후의 대응법도 중요
4. 상이나 벌을 이용
1) 정적강화
2) 부적강화
3) 벌
4) 소거
5. 지도효과를 확인

* 참고문헌

본문내용

람직한 행동이 형성되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 즉 문제 행동이 나타나기 직전의 대응 방법에 대해서 주로 주목해왔으며, 문제 행동이 나타난 직후의 대응 방법에 대해서는 소홀히 해왔다. 문제 행동이 발생한 직후에 부모나 교사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문제 행동의 발생률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다.
유아교육(보육) 현장을 보면 부모나 교사의 잘못된 대응으로 인해 아이의 문제 행동이 개선되기보다는 오히려 강화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구들에게 피해를 줄 정도로 장난이 심한 아이)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런 경우 교사들은 대개 가 심한 장난을 칠 때마다 타이르거나 꾸중하는 등의 방법으로 지도하는데, 이런 방법으로는 행동의 개선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오히려 이런 대응은 아이의 행동을 강화시켜버리는 위험성이 크다. 왜냐하면 A가 문제 행동을 보이지 않을 때는 교사의 주목이나 관심 등의 반응이 없었지만, 문제 행동을 보였을 때는 비록 꾸중을 듣게 되지만, 오히려 이것이 아이에게는 보상으로 작용하여 문제 행동을 강화시켜 버리는 결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바람직한 행동이나 문제 행동의 발생 직후에 부모나 교사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서 문제 행동이 개선되거나 강화되기도 한다.
4. 상이나 벌을 이용
상이나 벌은 인간의 행동을 강화 또는 약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대응방법 중의 하나이다. 행동의 발생 직후에 제시하게 되는 상과 벌에 4가지 방법이 있다. 상에 해당하는 개념인 정(플러스)을 제공하는 것을 '정적 강화'라고 하며, 정의 제공을 중지 내지 보류하는 것을 '소거'라고 한다. 한편 벌에 해당되는 개념인 부(마이너스)를 제공하는 것을 '벌'이라고 하며, 부의 제시를 중지내지 보류하는 것을 '부적강화'라고 한다. 그러므로 '정(正)적 결과'라고 하는 것은 아이가 좋아하는 대상이나 상황을 말하며, '부적 결과'라고 하는 것은 아이가 싫어하는 대상이나 상황을 의미한다.
(1) 정적 강화
'정적 강화'라고 하는 대응은 행동의 발생 직후에 정을 제시하는 것을 말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물건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방을 아이가 자발적으로 정리 정돈하였을 때 어머니가 칭찬을 해주는 경우는 '정적 강화를 통한 행동지도'라고 할 수 있다. 이 대응법은 대상 행동의 생성률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행동의 습득이나 강화에 많이 사용한다.
(2) 부적 강화
'부적 강화'라고 하는 대응은 행동의 발생 직후, 그 이전까지 제시되고 있었던 부적 결과를 중지하거나 보류하는 대응법이다. 예를 들어, 벌(예 : 두 손을 들고 벌을 받고 있음)을 받고 있던 아이가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면서
"잘못 했습니다"라고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뉘우치면 그때까지 제시되었던 부적 결과를 중지하는 대응법(두 손을 내리게 함)이다. 이렇게 대응하면 이후에 유사한 상황에 놓이게 될 때 아이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거나 뉘우치는 행동을 보이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게 되는 것이다.
(3) 벌
'벌'이라고 하는 대응은 일반적으로 꾸중이나 체벌이라는 형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문제 행동의 발생 직후에 부적 결과를 제시하는 대응법을 말한다. 이 대응법은 문제 행동의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지만, 꾸중이나 체벌 등의 지도법은 교육상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으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4) 소거
'소거'라고 하는 대응법은 문제 행동의 발생 직후 그때까지 제시하였던 정적 결과를 중지나 보류시키는 대응을 말한다. 예를 들어 선생님이 매일 매일 간식을 주다가 친구를 때린 날에는 간식을 주지 않는 방법으로 아이를 지도한다면 그것은 소거라고 하는 방법을 사용한 대응법이라고 할 수 있다. 소거에 의한 지도는 문제 행동의 감소에 목적을 두고 실시한다.
이상의 4가지 대응법 가운데 처음 두 가지는 소위 '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대상 행동의 강화나 그 발생률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지만, 나머지 두 가지 방법은 '벌'에 해당하는 것으로 대상 행동의 약화 내지 행동의 발생률을 감소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행동 치료 장면에서는 일반적으로 아이의 문제 행동을 제거하고 바람직한 행동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상과 벌을 병행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벌보다는 상을 중심으로 한 대응법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보고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을 거의 일상적으로 빠는 아이의 문제 행동을 지도하고자 할 경우, 손가락을 빠는 행동에 대한 꾸중이나 체벌보다는 손가락을 빨지 않는 행동이 나타났을 때 그 아이에게 정적 결과를 제시하는 대응방식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보는 것이다.
이처럼 문제 행동에 대한 행동 치료적 접근에서는 문제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그 행동을 제거하고자 하는 대응 방식보다는 이와는 반대되는 행동, 즉 바람직한 행동이 나타났을 때 이에 대해 정적 강화를 제시하여 문제 행동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에 더 큰 관심을 갖고 있다.
5. 지도 효과를 확인
정신분석학에 기초한 치료기법에서의 치료목표는 문제 행동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 원인은 그 사람의 마음에 있다고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치료의 효과를 정확히 판단하는 데는 상당히 어려움이 많다.
그러나 행동 치료는 행동의 개선이 치료의 목표이며 치료 이전의 상태와 그 이후의 행동 변화를 비교 관찰하기 때문에 치료 효과를 그런대로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행동 치료는 치료를 하면서 행동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지도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른 치료법에 비해 큰 장점이 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7.09.04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26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