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문학의 이해] 김약국의 딸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현대문학의 이해] 김약국의 딸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작품 소개


Ⅱ. 인물구도


Ⅲ. 김약국의 딸들
ⅰ. 용숙
ⅱ. 용빈
ⅲ. 용란
ⅳ. 용옥
ⅴ. 용혜


Ⅳ. 비극을 받아들이는 딸들의 태도


Ⅴ. 작품 속 부정적 남성상


Ⅵ. 결론

본문내용

하고 용옥에게는 별다른 애정을 못 느낀다. 용옥에게는 냉담하고 더욱 먼 존재가 된다. 기두와 용옥의 관계를 살펴보면 이 둘의 관계는 연순을 사모했던 김약국과 한실댁의 관계와 흡사한 모습을 보인다. 기두의 용옥에 대한 무책임한 태도는 결국 그녀를 죽음에 이르게 하는 인물이다.
ㆍ최연학 : 용란과 결혼하게 된 최연학은 부잣집 아들이지만 그 패악으로 집에서 쫓겨나는 가난한 아편중독자이자 성불구자이다. 양반의 아들인 그는 자신의 성적 불구와 아내 용란의 과오로 의처증이 심화되어 용란에게 패악을 부리며 자주 폭행한다. 감옥에서 출소를 하던 날 한돌과 도망가려는 아내 용란의 소식을 듣고 찾아가 결국 한돌과 때마침 그곳에 있던 한실댁을 도끼로 찍어 살해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남성 인물들의 성격 속에서 작가가 아버지에 느꼈던 원망과 증오가 녹아있다. 물론 소설이란 허구에 의해 좀 더 극적으로 표현되었을 뿐, 그녀가 유년시절 부성을 통한 남성인식의 부정성이 비열하고 포악한 남성인물들을 그림으로써 평범한 여성들이 불행해지고 파멸하는 파국적 인생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작가의 따뜻한 부성애의 갈구가 왜곡됨을 의미한다. 성장과정 속에서 아버지의 냉담으로 소외당한 여성인 어머니의 불행한 인생을 보여주고 있다. 그 시대 전통적인 남존여비사상과 유교적 전통이 많이 남아있던 성장과정 속에서 아버지의 냉담으로 소외당한 여성인 어머니의 불행한 인생을 안타깝게 바라볼 수밖에 없었던 작가에게 남성은 여성의 운명을 지배하고 군림하는 자이며 이는 반드시 극복되어야 할 현실로 인식되고 있다.
Ⅵ. 결론
작품 속에서는 위에서는 따로 자세히 살펴보진 않았지만 등장하는 남성인물들을 부정적으로 그려놓고 있다. 『김약국의 딸들』은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경남 통영에 사는 유복한 한 가정의 욕망과 운명의 얽힘에 의해 몰락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데, 전통적인 남존여비사상과 유교적 사상이 팽배하고 있는 시대가 작품의 배경이다. 그 속에서 작가는 남성이 여성위에 군림하여 운명을 지배하는 자이며 이는 반드시 극복해야 할 현실로 인식하고 있다. 박경리는 작품전체에 개인의 의지와 노력과는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불운을 등장시킨다. 그러나 비극적 운명에 끝없이 무너지는 개인의 무력함보다는 등장하는 다섯 딸들을 통해 각자 자신의 의지로 운명을 극복하고자 하는 주체적이며 강한 의지가 이 작품을 빛나게 해준다. 다시 말해 불운한 운명에도 불구하고 당당하고 힘찬 자신의 주관으로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강하게 나타내어 현실에 맞서 살아가려는 인간의 아름다운 노력을 표현한 것이 이 작품에 감동을 더 해 주는 듯 싶다.
참고문헌
1차 자료
박경리. 『김약국의 딸들』(나남, 1993).
논문
김영애.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연구」.『현대소설연구』 36호(한국현대소설학회, 2007).
안남연. 「박경리, 그 비극의 미학」. 『여성문학연구』 4호(한국여성문학학회, 2000).
검색엔진
“한국의 인물” www.lawmarket.co.kr
www.naver.com
위키백과
브리태니커백과사전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09.13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35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