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져야 할 필수적인 덕목이다. 클라이언트를 따뜻한 마음으로 대하지 않는다면 클라이언트들의 발전은 매우 힘든 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 자신은 따뜻한 마음을 별로 가지지 못 한 것 같다. 이렇기에 이 기회를 빌어서 나 자신에게 ‘따뜻한 마음을 가지자.’라는 다짐을 해 보았다.
두 번째로, ‘포기하지 말자.’이다.
제인 애덤스는 헐 하우스를 만들면서 수많은 난관에 부닥쳤다. 그러나 제인 애덤스는 그 난관에 굴복하지 않고, 더욱 더 헐 하우스를 번창시켜 나갔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들을 포기하지 않았다.
나 또한 좀 힘들다고 해서 포기한 적이 많은 것 같다. 봉사활동을 나갔을 때에도, 솔직히 나와 말이 잘 통하지 않는 몇 분은 포기했었다. 하지만 이는 사회복지사로서 잘 못된 행동이다.
나는 나 자신과 클라이언트를 포기하지 않아야겠다. 이는 나와 클라이언트 둘 다를 배신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이렇기 때문에 나는 두 번째 다짐으로 ‘포기하지 말자.’라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세상에 대한 시야를 넓히자’라는 다짐을 하였다.
제인 애덤스도 이 책에서도 12~15장을 각각 ‘공공활동과 조사활동’, ‘시민의 협동’, ‘사회단체의 가치’, ‘교육의 대중화’라는 제목을 내걸고 세상에 대한 시야를 넓히는 것을 강조하였다.
사회복지사는 궁극적으로 인간의 행복을 위해서 있는 직업이다. 인간의 행복을 더욱 더 확대하기 위해서는 눈 앞에 있는 클라이언트들도 중요하지만 거시적으로 정책, 법, 사회 등을 보는 눈도 중요하다. 그리고 그런 부분들을 더욱 더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운동도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나는 인간의 행복을 늘리기 위한 사회복지사를 하겠다고 사회복지학과에 진학하였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세상에 대한 시야를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 이를 나의 다짐으로 삼게 되었다.
이렇듯 나는 총 3가지의 다짐을 ‘헐 하우스에서 20년’이라는 책을 읽고 만들어보았다.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해서 노력하는 나에게 이 책은 커다란 자극을 주었다. 왜 사회복지학과의 필독서이고, 교수님께서 이 책에 대한 숙제를 내 주신지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
나는 이 세상의 행복을 위해서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고자 사회복지사가 되려고 한다. 앞으로도 이런 초심을 잃지 않도록 노력하고, 그리고 ‘헐 하우스에서의 20년’이라는 책을 귀감을 삼으면서 사회복지사로서의 길을 성실히 걸어가도록 노력할 것이다.
하지만 나 자신은 따뜻한 마음을 별로 가지지 못 한 것 같다. 이렇기에 이 기회를 빌어서 나 자신에게 ‘따뜻한 마음을 가지자.’라는 다짐을 해 보았다.
두 번째로, ‘포기하지 말자.’이다.
제인 애덤스는 헐 하우스를 만들면서 수많은 난관에 부닥쳤다. 그러나 제인 애덤스는 그 난관에 굴복하지 않고, 더욱 더 헐 하우스를 번창시켜 나갔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들을 포기하지 않았다.
나 또한 좀 힘들다고 해서 포기한 적이 많은 것 같다. 봉사활동을 나갔을 때에도, 솔직히 나와 말이 잘 통하지 않는 몇 분은 포기했었다. 하지만 이는 사회복지사로서 잘 못된 행동이다.
나는 나 자신과 클라이언트를 포기하지 않아야겠다. 이는 나와 클라이언트 둘 다를 배신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이렇기 때문에 나는 두 번째 다짐으로 ‘포기하지 말자.’라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세상에 대한 시야를 넓히자’라는 다짐을 하였다.
제인 애덤스도 이 책에서도 12~15장을 각각 ‘공공활동과 조사활동’, ‘시민의 협동’, ‘사회단체의 가치’, ‘교육의 대중화’라는 제목을 내걸고 세상에 대한 시야를 넓히는 것을 강조하였다.
사회복지사는 궁극적으로 인간의 행복을 위해서 있는 직업이다. 인간의 행복을 더욱 더 확대하기 위해서는 눈 앞에 있는 클라이언트들도 중요하지만 거시적으로 정책, 법, 사회 등을 보는 눈도 중요하다. 그리고 그런 부분들을 더욱 더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운동도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나는 인간의 행복을 늘리기 위한 사회복지사를 하겠다고 사회복지학과에 진학하였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세상에 대한 시야를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 이를 나의 다짐으로 삼게 되었다.
이렇듯 나는 총 3가지의 다짐을 ‘헐 하우스에서 20년’이라는 책을 읽고 만들어보았다.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해서 노력하는 나에게 이 책은 커다란 자극을 주었다. 왜 사회복지학과의 필독서이고, 교수님께서 이 책에 대한 숙제를 내 주신지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
나는 이 세상의 행복을 위해서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고자 사회복지사가 되려고 한다. 앞으로도 이런 초심을 잃지 않도록 노력하고, 그리고 ‘헐 하우스에서의 20년’이라는 책을 귀감을 삼으면서 사회복지사로서의 길을 성실히 걸어가도록 노력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고구려대] 나남출판사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론]클라이언트중심모델
(사회복지실천론) 비에스텍 관계론, 관계의 7대 원칙 보고서
인지행동 모델-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론] 역량강화 모델(Empowerment Model) = 권한부여 모델
(사회복지실천론)사례관리, 사례관리의 철학 및 개념, 사례관리의 과정, 사례관리자의 역할, ...
(사회복지실천론)면접의 방법, 목적, 유형, 구성요소, 면접기술, 기록
[사회복지실천론] 기능주의와 진단주의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자세히 기술하시오.
[사회복지실천론] 윤리적 원칙과 윤리적 의사결정모델(로웬버그와 돌고프의 윤리적 의사결정...
[사회복지실천론] 전문적인 원조관계 기술 - 전문적인 원조관계 기술의 필요성, 라포형성과 ...
[사회복지실천론] 사례관리의 주요 관점 - 생태체계관점의 주요 개념과 사례관리 실천, 강점...
[사회복지실천론] 사례관리의 주요 관점 - 생태체계관점의 주요 개념과 사례관리 실천, 강점...
사회복지실천론)아래 사례의 상황에서 내가 담당 사회복지사라면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가장 ...
사회복지실천론)사회복지기관에서 시행되는 프로그램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사회복지지관 중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