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학교 보건 인력의 직무와 역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학교 보건 인력의 직무와 역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보건교사 배치와 직무

1) 보건교사

2) 학교의사와 학교약사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취득하고 간호원 면허증을 소지한자
교육법
제 3370호
(1981.2.13)
1995년
1급
양호교사(2급)자격증을 소지자로서 3년 이상의 양호교사 경력을 가지고 자격연수를 받은 자
교육법
법률 제 5069호
(1995.12.29)
2급
양호교사(2급)자격증을 소지자로서 3년 이상의 양호교사 경력을 가지고 자격연수를 받은 자
2002년-현재
1급
보건교사(2급) 자격증을 가진 자로서 3년 이상의 보건교사 경력을 가지고 자격연수를 받은 자
초. 중 등 교육법 제 21조 2항
(2002.8.26)
2급
1. 대학. 산업 대학의 간호학과 졸업자로서 재학 중 소정의 교직학점을 취득하고 간호사 면허증을 가진 자
2. 전문대학의 간호과 졸업자로서 재학 중 소정의 교직학점을 취득하고 간호사면허증을 가진자
라. 보건 교사 경력 신장
- 학교보건업무를 전담하는 중앙행정조직 및 지방행정조직은 미흡하지만, 학교보건 실무자인 보건교사가 중앙조직과 지방조직에 파견이나 승진되어 2008년 1월 24 명으로 보건교사가 학교보건행정가로 근무하고 있음
- 그 시발이 된 것은 2000년 학교에서 근무하던 보건교사가 서울시 교육청 평생교육과에 파견 근무하면서부터 시작이 되어, 2003년에는 부산광역시 교육청에 보건교사 파견되어 장학사로 승진되었음
- 2006년에는 전북지역에는 전북지역에 교육연구관이 탄생되었음
- 2007년에는 중앙조직인 교육인적자원부에 보건교사가 교육연구사로 임명되어 그 수는 전국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현재 보건교사 출신 장학사나 연구사, 연구관은 24명에 이름
마. 보건교사의 배치와 직무
- 보건교사 배치에 관한 법은 학교보건법 시행령 제 15조<전부 개정 2008.8.4>와
학교보건법 시행령 제 23조에 명시 되어있음
■ 학교 보건법 15조(학교의사, 학교약사 및 보건교사)
① 학교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관리를 지원 하는 학교의사(치과의사와한의사를 포함한다)와 학교약사를 둘수 있음
② 모든 학교에 제9조의2에 따른 보건교육과 학생들의 건강관리를 담당하는 보 건교사를 둠.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규모 이하의 학교에는 순회 보 건 교사를 둘 수 있음
■ 학교 보건법 시행령 제23조(학교의사, 학교약사 및 보건교사)
① 법 제 15조에 따라 학교에 다음과 같이 학교의사(치과의사 및 한의사를 포함 한다. 이하 같다.), 학교 약사와 보건교사를 둠
1. 18학급 이상의 초등학교에는 학교의사1명, 학교약사 1명 및 보건교사1명을 두고 18학급 미만의 초등학교에는 학교의사 또는 학교약사 중 1명을 두고 , 보건교사 1명을 둠
2. 9학급 이상인 중학교와 고등학교에는 학교의사 1명, 학교약사 1명 및 보건 교사 1명을 두고,9학급 미만인 중학교와 고등학교에는 학교의사 또는 학교 약사 중 1명과 보건교사를 1명 둠
3. 대학(3개 이상의 단과대학을 두는 대학에서는 단과대학), 사범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에는 학교의사 1명 및 학교약사 1명을 둠
4. 고등기술학교,공민학교,고등공민학교,특수학교,유치원 및 각종학교에는 제1 호부터 제3호까지에 규정된 해당 학교에 준하여 학교의사, 학교약사 및 보 건 교사를 둠
② 제 1항에 따른 학교의사, 학교약사는 각각 그 면허가 있는 사람 중에서 학 교장이 위촉됨
③ 제 1항에 따른 보건교사, 학교의사 및 학교약사의 직무는 다음과 같음
1) 보건교사의 직무 및 역할
가. 학교보건계획의 수립
나. 학교 환경위생의 유지. 관리 및 개선에 관한 사항
다. 학생과 교직원에 대한 건강진단의 준비와 실시에 관한 협조
라. 각종 질병의 예방처치 및 보건지도
마.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관찰과 학교의사의 건강상담, 건강평가 등의 실시에 관한 협조
바. 신체가 허약한 학생에 대한 보건지도
사. 보건지도를 위한 학생가정 방문
아. 교사의 보건교육 협조와 필요시의 보건교육
자. 보건실의 시설, 설비 및 약품 등의 관리
차. 보건교육자료의 수집 및 관리
카. 학생건강기록부의 관리
타. 다음의 의료행위(간호사 면허를 가진 사람만 해당됨)
① 외상 등 흔히 볼 수 있는 환자의 치료
② 응급을 요하는 자에 대한 응급처치
③ 부상과 질병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처치
④ 건강진단결과 발견된 질병자의 요양지도 및 관리
⑤ ①~④까지의 의료행위에 따르는 의약품 투여
파. 그 밖에 학교의 보건관리
2) 학교의사와 학교약사
- 학교보건법시행령 제 23조에 명시된 학교의사와 약사의 직무는 다음과 같음
· 학교보건계획의 수립에 관한 자문
· 학교 환경위생의 유지, 관리 및 개선에 관한 자문
·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진단과 건강 평가
· 각종 질병의 예방 처치 및 보건지도
·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상담
· 그 밖에 학교보건관리에 관한 지도
가. 학교의사의 직무
나. 학교약사의 직무
· 학교보건계획의 수립에 관한 자문
· 학교 환경위생의 유지, 관리 및 개선에 관한 자문
Ⅲ. 결 론
우리는 1학년 3반 박형식 학생과 체육선생님이 들어와서 축구클럽 시간에 축구 경기를 하던 중 넘어지면서 새끼손가락을 운동장 바닥에 접질린 거 같아서 보건실로 찾아왔는데 이때 학교 보건 인력의 직무와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먼저 알아야 될 것은 보건 인력 중에 보건교사 스스로가 학교에서 어떤 일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파악을 해야 되고 예를 들어 각종 질병의 예방처치 및 보건지도, 학생건강기록부의 관리, 교사의 보건교육 협조와 필요시의 보건교육 등이 있다. 배치는 18학급 이상의 초등학교에는 학교의사1명, 학교약사 1명 및 보건교사1명을 두며 18학급 미만의 초등학교에는 학교의사 또는 학교약사 중 1명을 두고 ,보건교사 1명을 두고 9학급 이상인 중학교와 고등학교에는 학교의사 1명, 학교약사 1명 및 보건 교사 1명을 두고,9학급 미만인 중학교와 고등학교에는 학교의사 또는 학교약사 중 1명과 보건교사를 1명을 둔다. 그밖에 보건의사. 보건약사의 관한 직무들이 있으며 박형식 환자가 새끼손가락을 접질려서 보건교사는 응급처치를 해주고 보건 교육을 실시할 기회가 있으면 교육을 함으로써 학교보건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Ⅳ. 참고 문헌
정담 미디어(2010) 지역사회간호학 pp503~ 508
  • 가격1,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8.03.26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1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