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국사역사] 조선왕조실록 요약(정리)2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국사역사] 조선왕조실록 요약(정리)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조선왕조실록 요약_2>

1. 성종
2. 연산군
3. 중종
4. 인종
5. 명종
6. 선조
7. 광해군
8. 인조

본문내용

과 백성을 버리고 도주 → 전쟁장기화 → 왜군의 전쟁물자 수송 곤란
여진족이 북방의 강력한 세력으로 일본은 두만강 건너 여진족과 싸우다 패함
이순신!
- 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물자보급은 배로 해야 하는데 이순신이 보급로 완전 차단
※ 함경도에서 물자를 기다리던 왜군들은 배고픔과 총알이 부족한 상황 초래
- 1592년 4월에 시작한 전쟁은 다음해 봄까지 이어지고, 전쟁이 장기화 되자 일본은 명나라와 일본은 전쟁은 전쟁에 대한 강화교섭 시작
※ 일본은 경기, 충청, 경상, 전라 지역을 내놓고, 명나라 황녀를 일본의 후비, 첩으로 보내라는 등의 무모한 조건 → 회담 결렬 → 1597년 다시 전쟁 발발 ‘정유재란’
- 이순신은 왜란이라는 7년 동안의 어려움 속에서 옥포해전, 한산도대첩, 명량해전, 노량해전 등 눈부신 23전 23승을 이끎
- 노량해전에서 ‘나의 죽음을 적들에게 알리지 말라!’라는 유언을 남기고 순국
▣ 임진왜란이후(1598~1608년)
- 7년간의 전쟁이 끝났지만 전 국토는 황폐해짐
- 선조는 전쟁에 앞장서서 싸운 선무공신보다 선조를 따라 피난 갔던 호성공신을 더 높이 평가함
- 전쟁 승리의 모든 공을 명나라에게 돌리고, 찬양
제15대. 광해군
· 생애 : 1557~1641
· 재위기간 : 1608~1623
· 묘호 : 없음
· 즉위 : 선조와 후궁 공빈 김 씨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남. 선조의 장남 임해군은 성격이 포악해 차남 광해군이 후계자로 지목됨. 임진왜란 발발 후 광해군은 전장을 누비며 전쟁의 총사령관 역할을 충실히 다함.
▣ 전쟁이 만든 왕세자(1592~1608년)
- 임진왜란 당시, 선조는 왕비사이에 자식이 없었고, 후궁 공빈 김씨 사이에 두 아들을 둠
- 선조는 의주로 피난을 가면서 전쟁의 지휘권은 왕세자에게 넘기려고 함
- 18세 광해군은 왕세자의 자리를 받고, 의병을 독려하고 백성을 위로하는 역할 해냄
- 광해군은 자신의 자랑스러운 아들이면서도 라이벌이기도 함
※ 전쟁으로 광해군의 지지도가 높고, 선조에 대한 인기 하락
- 임진왜란 후 선조는 새 왕비 인목왕후 사이에서 아들을 낳음(영창대군)
- 신하들은 광해군과 영창대군을 각각 지지하는 세력으로 분리
※ 광해군을 지지하는 대북파, 영창대군을 지지하는 소북파
- 광해군은 우여곡절 끝에 왕위에 오르지만 영창대군은 훗날 정치적 라이벌이 됨
▣ 광해군 즉위와 개혁(1608~1623년)
- 양전사업 실시 : 전쟁으로 훼손된 토지 재조사 및 안정적 세금 확보
- 동의보감 완성 : 전쟁으로 지친 백성들의 삶 위로
- 대동법 시행 : 조선 최고의 세금 개혁(지역 특산품 대신 쌀로 세금을 내게 함)
※ 대동 : 공자가 말하는 이상사회, 우리 모두 잘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세금제도라는 뜻
- 중립외교 실시 : 중국 명나라와 후금 사이에서 중립적은 외교정책 실시
※ 조선을 도와준 명나라에 대한 신의와 성장하는 세력 ‘후금’ 사이에서 실리외교 펼침
▣ 인조반정
- 경북에서 일어나 단순 강도사건을 광해군과 대북파는 소북파와 영창대군에게 죄를 물음
※ 광해군과 대북파에게 위협적인 선조의 적장자 영장대군 증살, 인목왕후를 가둠(폐모살제)
- 대의와 명분, 효를 중시하는 서인들에게 용납될 수 없어 결국 서인을 중심으로 남인이 동조하여 인조반정이 발생
※ 종친 견제로 인한 왕족의 반발과 폐모살제 및 중립외교에 대한 신하들의 반발이 서로 일치
- 인조는 광해군과 서로 삼촌과 조카 관계
제16대. 인조
· 생애 : 1595~1649
· 재위기간 : 1623~1649
· 묘호 : 인조
· 즉위 : 선조의 손자. 선조와 후궁 인빈 김씨 사이에서 태어난 정원군이 인조의 아버지. 인조는 정원군의 장남, 광해군과는 숙부와 조카 사이지만 인조가 서인과 함께 반정으로 광해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름.
▣ 친명배금 정책(1623년)
- 광해군은 늘 왕위에 불안해하며 자신과 같은 후궁 소생의 자녀들에게도 적개심
- 광해군의 견제로 인조는 아버지, 동생을 잃음 → 인조반정에 가담
- 인조는 왕위에 오르자 ‘친명배금’ 정책을 펼침
※ 후금은 계속 세력이 커지고, 명나라는 쇠약한 상태지만 인조와 서인은 명나라와의 의리를 강조
▣ 정묘호란(1627년)
- 이괄은 인조반정 때 큰 공을 세웠지만 서인들은 이괄을 배척함
- 서인 김유와 이골 사이에 갈등으로 이괄은 김유보다 공적이 낮게 봉해짐
- 이괄은 군대를 이끌어 난을 일으킴 → 이괄은 자신의 부하들의 배신으로 이괄 세력은 무너짐 → 이괄 밑에 있던 장수들은 후금으로 도망가 조선을 침공하자고 부추김
※ 후금은 조선 정부의 친명배금 정책에 불만을 품고 있었고, 후금은 명나라를 치려면 조선의 경제적 지원이 절실한 상황
- 이괄의 잔당세력들이 조선 침략을 앞장서자, 후금은 ‘전왕 광해군의 원수를 갚는다’는 명분을 내세워 조선을 침공 → 인조는 황급히 강화도로 피난 → 후금은 조선과 ‘형제관계’를 맺을 것을 요구 → 조선은 후금과 화친을 맺고, 후금 군대를 철수
▣ 병자호란(1636년)
- 세력이 점점 커진 후금은 1632년 조선에게 ‘형제관계’를 ‘군신관계’로 바꿀 것을 명함
- 후금의 국호를 ‘청’으로 바꾸더니 조선을 더욱 압박함 → 조정은 두 파로 나뉨
척화론자 : 죽더라도 명에 대한 의리를 지키겠다는 주장
주화론자 : 전쟁으로 인해 피해를 막고, 실리를 추구하자는 주장
- 결국 척화론자의 주장대로 친명배금 정책을 고수하자, 청나라가 조선 침공(병자호란) ※ 청은 정묘호란처럼 피난 가는 인조의 길목을 막고 잡음 → 잡힌 인조는 남한산성에서 잠실 고수부지까지 한겨울 맨발로 끌려감 → 얼어붙은 한강 바닥에 인조가 무릎을 꿇음 → 삼궤 구고두레 함. (무릎을 꿇고 머리가 땅에 닿을 때까지 총 9번을 청나라 황제에게 절을 함)
- 인조의 장남 소현세자는 부인 세자빈 강씨와 동생 봉림대군과 함께 인질로 끌려감
※ 소현세자는 심양에서 8년간 인질 생활을 함. 약소국의 세자지만 직접 농사를 짓고, 청나라 황실과 교류를 통해 훌륭한 외교관 역할을 해냄 → 청에서 소현세자를 왕으로 세울지 모른 다는 불안감에 인조는 장남을 내침 → 소현세자는 귀국 3개월 만에 의문사 함.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8.04.28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38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