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신학의 문화적 접근 - 현존하는 모델과 발전의 방향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신학의 문화적 접근 - 현존하는 모델과 발전의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제1부 현존하는 교육모델
제2부 교육모델의 비판
제3부 대안적 교육모델

교회현장에 적용

결론

본문내용

이들에게 성서적 지식을 전달해야 된다는 것에 두려워하는 모습들을 보여지고 있다. 그러한 문제의 극복은 자신의 삶으로서 이어지는 영성의 흐름들을 교회에 갖고들어와 아이들로 하여금 입술로 자신의 죄를 고백하게 하고 기도제목을 말하게 하는 나눔의 모습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회학교의 부흥을 위해 교사가 살아야 하는 것처럼 신앙공동체의 최소단위인 가정에서부터 기독교교육의 회복이 있어야 될 것이다. 요즘엔 깨진 가정들이 많아 ‘너희 부모님은 어떻시니?’라고 말어보는 것은 실례가 될 정도로 그런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가정에서 부모로부터 신앙의 건강한 모습으로 롤 모델로서 아이들에게 보여지는 모습이 다음세대 교회를 짊어질 일꾼들에 대한 선물이라고 생각한다. 아이들과 같이 큐티하며 찬양하며 말씀보는 습관이 어렸을 때 가정에서부터 훈련이 되어진다면 그는 틀림없이 다음세대를 살리기 위한 세계적인 리더로서 쓰임받을 줄로 믿는다. 그럴 때 신앙공동체로의 회복으로부터 문화화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을 기대해본다.
결론
제1장 한국사회와 교육의 과제로부터 제7장 기독교적 비판-문화교육학의 구조를 살펴보며 기독교교육의 모델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한국 기독교 교육이 다루어 온 사상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구조화된 한국 기독교 교육은 이제 한 단계 더 발전시키기 위한 방향모색이 요구되어짐을 말하며 대안적 기독교교육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교육신학의 새로운 접근을 다룬다. 프레이리의 의식화 교육을 모델에서부터 웨스트호프의 신앙공동체의 교육 모델, 헨리 지루의 비판-문화의 교육 모델, 단철학의 민중신학, 존 웨슬리의 성화신학의 이론으로 대안적 기독교교육의 모델을 위한 접근 방법에 대하여 제시되어진다.
새로운 교육신학의 구조를 위한 비판적이며 문화적인 접근의 시도이다. 이러한 접근에서는 이론의 제시가 아니라 교육현장에서의 교육적 프락시스가 요구된다. 저자는 변혁적 배움을 위한 교육신학의 구조는 교육 목적을 기독교적 민주 시민의 양성으로 본다. 이는 신앙공동체에서 제자화 교육과 시민교육의 변증법적 통합의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학습자는 세상의 주체자로 교사와 동반자로 연대한다. 민주시민으로서 양성하기 위해 많은 기독교교육이론이 제시되어져 왔다. 하지만 어느 것이 옳고 그름은 없는 것이다. 어떤 것이 다음세대를 살리는 옳은 길인지는 알 수 없으나 우리 현장가운데 이러한 고민들이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민하지 않으면 다음세대도 없다는 것을 세삼 느끼게 된다.
어느 배우가 하는 말을 떠올려 본다. ‘슬럼프가 오는 이유는 당신이 열정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교회교육 현장가운데 힘들고 지치고 낙담하며 쓰러질 것 같지만 그러한 이유 중에 가장 큰 원인은 다음세대를 살리기 위한 열정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해 끊임없이 탐구하고 기도하고 극복해 나갈 길을 노력할 때 어느 우리도 모르는 순간에 신앙공동체에서 으뜸이 되는 모습들을 그려본다.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2.09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7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