흄의 감정도덕론과 공감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흄의 감정도덕론과 공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글

2. 흄의 도덕감이론
1.도덕적 판단의 근거-도덕감
2.유용성
3.공감
4.흄의 도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3. 경험사례

4. 수업적용
1.들어가기에 앞서
2.수업에의 적용

5. 나오는 글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결론이 나지 않으며 낼 수 도 없다. 단지 우리들은 ‘내가 저 상황이었으면’이라는 문두를 세우며 말을 이어 나간다. 공감의 형성이 관찰, 추리, 관념의 형성을 통해 약간이나마 이루어지는 것. 그러나 합의점을 쉽게 찾기는 힘들다. 우리가 가지는 관점 이란 것이 미숙하기도 하지만 흄이 주장하는 ‘일반적인 관점’을 가지는 것은 상당히 힘들기 때문이다. 합의점을 쉽게 찾기 힘들다는 점에서 공감이 교정을 받아도 우리의 소감이 개인차를 극복할 수 있다는 주장이 경험적 사실과 부합하는지도 의문이 생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이 다양한 도덕감이 모든 개인차를 극복하고 하나의 보편적인 도덕 판단의 기준을 형성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인 것이다.
Ⅳ. 초등교육에의 적용
1)들어가기에 앞서
흄의 공감 주의는 비교적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기 쉽다고 볼 수 있다. ‘공감’ 그 자체를 이해하고 행한다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 하지만 공감과 공통 분모을 가지고 있는 요소들, 예를 들자면 ‘배려’, ‘감정’ 등은 이미 저학년도 기초적인 부분이나마 형성이 되어있기에 발문 또한 시작단계에서는 그리 복잡하지 않다.
하지만 그 다음이 굉장히 어려운 부분이다. 칸트의 합리주의에 근거한 이론 전개도 굉장히 어렵겠지만 이 ‘공감’이라는 것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 그 공감을 ‘일반적인 관점’까지 끌어올리는 데 어떤 방법을 쓸 것인지는 교육자로써 굉장히 고민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
2)수업에의 적용
가상 수업 적용 학년은 7차교육과정 안의 5학년이며 문제해결능력을 신장 시킬 수 있게 하는 교수 방법인 PBL(problem based learning)이 유용하다고 생각해 이를 적용해 보고자 한다.
적절한 적용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초등학교 5학년은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따르면,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의 특성은 추상적인 사고가 가능해지고, 변인 추출 및 통제, 확률, 상과, 비례, 조합 논리에 대한 추상적 개념이 생기기 시작하며, 나아가 형식적인 사고도 가능해 지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학생들은 구체적 예시 없이도 추상적으로 추론하고 사고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어떠한 문제를 던졌을 때 저학년 보다는 수월한 토론이나 문제해결이 진행 될 것으로 보인다.
수업의 진행은 흄이 주장한 공감이 형성 되는 3단계와, 일반적인 관점을 수립하는 단계를 이용한다. 도입에서 문제가 될 만한 사건이나 자료-이 때의 자료는 여러 가지 정황을 골고루 포함하고 있는 도덕 수업에 쓰기 좋은 구체적이고 편파적이지 않은 자료이어야 한다-를 보여줌으로써 각각의 생각을 정리하게 하는 단계가 전자에 해단한다. 이때에 나누어줄 유인물은 공감이 형성되는 3단계에 맞추어 질문하도록 한다. 관찰을 통한 추리를 통해 학생들은 나름대로의 공감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은 토론을 통한 조율 과정이다. 흄은 이 과정에서 ‘일반적인 관점’을 수립하길 바란다. 실제로도 모든 학생들이 동의할 만한 의견이 나올 수 있고 그런 논제를 뽑을 수도 있지만 실제 수업에의 적용에서는 각각이 느낀 개별적 공감을 탈 개별화를 시키는 과정 자체에도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이때의 선생님은 진행자로서 토론의 방향과 진행을 도와주는 역할로써 학생들의 비계(scaffold)가 되어주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수업의 정리는 논제에 대한 학생들의 자율 활동으로 마치도록 한다. 도덕이란 과목은 수업 한 시간에만 제한 되는 과목이 아니라 생활에까지 깊숙이 파고 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적용 수업에서는 조별이나 개인으로 UCC를 만드는 것을 적용해보았다. 형시은 자유이며 이가 수월치 않다면 만화, 글 등을 짜서 내는 것도 괜찮다.
평가는 다음시간에 이루어지는데 여러 가지 방법의 활용 가능한 평가들이 존재하지만, 본 수업은 모둠원 평가, 타모둠 평가를 활용하기로 했다. 표<1>은 수업시간 중 자기 평가서, 표<2>는 수업 후 과제에 대한 모둠원 평가서 이다.
표<1> 수업중 자기평가서
내용
평점
1. 이번 시간 학습의 내용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있다.
5 4 3 2 1
2. 토론 활동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하엿다.
5 4 3 2 1
3. 다른 학생의 의견은 잘 들어주었다.
5 4 3 2 1
표<2> 모둠원 평가서
내용
이름
1. 자료를 잘 찾은 친구는 누구인가
2. 좋은 의견을 많이 낸 친구는 누구인가
3. 문제 해결과 관련된 의견을 많이 낸 친구는 누구인가
Ⅴ. 나오는글
‘공감’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많이 생각하게 되면서 문득 떠오른 일이 있습니다. 익명성을 이용해 악성댓글을 다는 네티즌들로 인해 자살하고 상처받은 사람들. 직접 이런 피해를 겪어본 것은 아니었지만 가까운 지인 중 한 명이 이로 인해 굉장히 아파하고 눈물 흘리는 모습에 저도 마음이 아팠던 적이 있습니다. 그들이 조금이라도 남이 겪을 아픔에 ‘공감’하는 능력이 있었다면 결코 그렇게 쉽게 적진 못했을 텐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늘날의 현대사회는 다양한 도덕적 문제들을 안고 있습니다. 물론 전에도 도덕 문제는 끝이 없었지만 현대에 들어서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합리성을 중시하게 되면서 비인간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인간성 존중이라는 사상이 굉장히 퇴색되어가고 있는지 눈에도 보일 정도이니까요. 이렇게 발생한 도덕적 문제마저 우리는 이성적으로 바라보고자합니다. 증명할 수 없는 것은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니까요. 그러나 우리가 이성을 통해 그러한 사실을 알게 된다 하더라도, 이와 같은 사실만으로 우리의 도덕적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을까요? 흄의 근본적인 질문입니다. 하지만 흄의 저러한 논리가 옳다 그르다를 따지고 싶은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지극히 경험적이고 또 현실적인, 내가 느끼는 ‘느낌’만큼 초등학생들에게 도덕을 와닿게 만드는 과정은 적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타인의 정념의 비교적 순수하게 공감할 수 있고 이러한 정념의 교류과정을 통해 자신의 정념을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수정할 수 있는 시기에 흄의 이론은 적절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D.hume의 도덕인식론 연구 : 도덕적 주제들의 본성에 관하여/ 윤종현
흄의 도덕감 이론 연구 / 신소혜
PBL을 활용한 초등도덕과 교수학습방안 연구 / 양영진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7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