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상황의 텍스트성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덕적 상황의 텍스트성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문제제기

Ⅱ. 본 론
1. 사 례
2. 분 석

Ⅲ. 결 론
1. 도덕 교육에서 적용

본문내용

다른 대안이 없는가에 대한 반성이다.
종강총회 발언 내용가운데 의무론과 관련된 내용을 따로 모은 것이다. 의무론은 참가에 반대하는 입장에서 반대근거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주로 사용한 근거는 우리가 교사가 될 사람이기 때문에 사회의 질서를 유지해야 하고, 모범을 보여야 하는데 예비교사총궐기와 같은 방법이 과연 옳은가 하는 점에 모아졌다. 그렇다면 여기에서는 과연 교사로서의 집회에 참석할 수 없다는 의무가 정언명법에 일치하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우리의 규칙이 타당하기 위해서는 최고원리의 척도 또는 도덕의 궁극적 기준, 즉 칸트에 있어 정언명법을 만족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칸트는 정언명법의 3가지 형식을 제시한다. 첫째 어떤 규칙이 도덕규칙이 되려면 그것은 일관성 있게 보편화 가능해야 한다. 둘째 만약 모든 사람들이 그것을 따른다면 그것은 서로를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목적 자체로서 대하게 될 규칙이어야 한다. 셋째, 어떤 규칙이 도덕규칙이 되려면 각자가 그 규칙을 보편적으로 입법화할 때 각자의 의지에 의해 자신에게 부과될 수 있는 규칙이어야 한다. 폴테일러, 앞의 책, pp125~126
⑦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교사가 될 사람은 집회에 참가해서는 안된다’를 자신과 타인의 행동지침으로 삼기로 결정하였을 때 각자의 의지에 의해 부과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나의 경우에는 그 규칙이 국가에 의해 우리에게 부과되었다고 생각한다. 그 규칙이 나에게 정당하게 부과된 것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인정할 수 없고, 규칙에 따를 의무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규칙을 따르도록 강요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정언명법에 어긋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교사가 될 사람은 집회에 참가해서는 안된다’는 보편적인 의무라고 할 수 없다.
콜버그의 도덕성발달 단계를 칸트의 의무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적용하면 ④, ⑥은 3단계에 해당하고 ⑦은 4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살펴본 공리주의의 경우 다양한 도덕성발달 단계를 보이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결과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리주의의 경우 결과가 얼마든지 다양하게 도출될 수 있고 따라서 예상된 결과를 말하기 때문에 도덕성발달 단계가 폭넓게 나타날 수 있는 것 같다. 반면 의무론의 경우 우리가 도덕적 의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상대적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3 4단계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도덕이 우리를 착한 아이 정향 또는 사회유지의 정향으로 만들어 가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들었다.
Ⅲ. 결 론
1. 도덕 교육에서 적용
도덕교육의 한계는 도덕교육이 제도권 교육으로 들어와서 평가라는 것을 해야 하는데서 명백해졌다고 생각한다. 예를들어 성직자를 양성하는 신학교의 경우 가장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들의 신앙심을 한껏 증대시키는데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신앙심이라고 하는 것은 객관적인 실체가 분명하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경전에 대한 지식 등을 평가하는 것이 현실이다. 도덕교육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학생들이 도덕적 상황에 직면하여 도덕적 판단을 잘 하는 것만이 궁극적인 목적이 되어야하며, 도덕 이론을 얼마나 알고 있느냐의 문제는 부차적인 것이다. 따라서 학생이 지식을 스스로 구성해나간다는 구성주의 교육이론의 강점이 여기에 있다. 콜버그에 의하면 우리 인간은 세계에 대하여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에 의하여 스스로 의미를 구성해 간다고 하였다. 더 나아가 콜버그는 도덕 원리 자체를 선험적 공리나 과거 경험으로부터 귀납된 것으로 보지 않고 발달적 구성물로 파악한다. 이것은 곧 구성주의로 볼 수 있는데 구성주의 관점에서의 도덕성 발달은 인지 발달과 더불어 개인의 경험과 상호 작용하면서 구성되어 진다. 이것을 도덕과 학습 상황에 적용시키면, 구성주의적 도덕 교육이란 학생들이 수업 과정에서 제시되는 정보를 자신의 개인적 경험과 일치시킴으로써 자신의 도덕성과 앎의 방식을 스스로 적극적으로 구성해 나가는 것이다. 조일수, 2004, 구성주의적 도덕과 교수 학습에 대한 연구, 국민윤리연구 제58호, p319
따라서 도덕적 상황에 대하여 하나의 공식적인 견해로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한번에 재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우리는 지금까지 하나의 도덕적 상황이 여러 명의 철학자, 윤리학자의 눈으로 읽힐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만약 학생들이 직접 도덕적 상황에 직면하면 더욱 다양한 도덕적 주장을 견지하면서 도덕적 판단을 이끌 수도 있기 때문에 본 레포트에서는 도덕적 상황의 텍스트성에 주목을 한 것이다.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0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