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려 주고, 처리의 우선순위를 결정해 준다. 이것은 의식적, 전략적 방식으로 일어나거나 무의식적, 자동적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라는 어떤 심상을 자신이 읽은 문장과 연합하도록 아주 신중하게 선택하였을 수 있다. 왜냐하면, 사라는 심상을 매우 효과적인 학습전략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그 이야기는 마을 사람들의 잔디를 한층 더 아름답게 하는 동백나무만을 기술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사라는 그 문장에서 실수로 "진달래"를 "동백나무"로 지각하게 될 수 있는 기대감을 형성하였을 수 있다. 어느 경우든지, 통제과정은 정보의 흐름과 이해되고 학습되는 내용을 수정하게 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