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칼리지][우리문학의현장을찾아서1]아리랑의 발생과정과 전파 경로에 대해 서술해보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라임칼리지][우리문학의현장을찾아서1]아리랑의 발생과정과 전파 경로에 대해 서술해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리랑의 발생과정
1) 근대설과 근대 이전설
2) 근대설(1790년)
3) 근대설(1865년)
2. 아리랑의 전파 경로
1) 태동형성기
2) 성창융성기
3) 쇠퇴침체기
4) 부활기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퇴침체기
아리랑의 쇠퇴침체기는 1941년부터 1970년대까지의 기간이다. 1941년에는 태평양 전쟁이 벌어지며 이후 대한민국은 해방을 맞이하지만 곧바로 한국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1940년대에는 “일제의 식민지 탄압정책으로 아리랑을 부를 수 없게 되고, 태평양전쟁 및 6.25전란을 통해 군가가 판을 치며, 해방공간 또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이념가요가 주류를 이루었기에 이 시기에 아리랑 또한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져 단지 기억되고 회상되는 소리로서 명맥만을 유지하였다. 특히 해방공간에서조차 아리랑은 더 이상 민중과 해방민족의 노래로 부활하지 못하고 외래가요에 주도권을 내주고 말았다.” 김기현(2018). 아리랑과 지역문화. 민속원. 88쪽
즉 쇠퇴침체기에 아리랑은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빛을 발휘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
4) 부활기
1970년대 이후 아리랑은 다시금 부활기를 맞이한다. “70년대 민족주의 열풍과 주체사상의 정립에 따라 분단된 남북은 1988년 서울올림픽을 앞두고 민족 통합적 이데올로기로 아리랑을 앞세우게 된다. 이후 남북한 스포츠단일팀의 국가나 응원가로 향토애를 고양하는 애향가로, 반미전선의 정체성 상징물로 아리랑은 애국민족요로 부활하여 오늘에 이르게 된다.” 김기현(2018). 아리랑과 지역문화. 민속원. 89쪽
이후 1989년에는 한민족아리랑보존연합회가 결성된다. 또한 2001년에는 유네스코에서 세계무형문화유산의 상징어로서 아리랑을 채택하고 아리랑 상을 제정하기도 한다. 이로써 아리랑은 한국을 넘어 세계의 노래로 영역을 확산해나갔으며, 2002년에는 평양에서 아리랑축전이 개최되고 한·일 월드컵에서는 응원가가 되어 한민족의 명실상부한 노래로 자리매김 한다.
Ⅲ. 결론
이번 보고서를 통해 아리랑의 발생 과정 및 전파 경로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다. 또한 시대별로 아리랑이 우리 사회에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고 어떠한 대우를 받아 왔는지 알아봤다. “노래 아리랑이 한국을 대표하는 민요이며, 한민족에게 가장 널리 유포된 노래라는 것은 어느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지금까지 밝혀지고 소개되어진 아리랑의 종류와 수는 어떠한 합리적 준거 위에서 구분하고 헤아리지는 않았지만 전국 각지에서 아리랑은 지역민이나 애호가들의 애정 속에서 지역마다 고유한 그들의 노래로 인식되어 수백여 종이 분류, 지칭되고 있는 실정이다.” 김기현(2018). 아리랑과 지역문화. 민속원. 67쪽
이러한 아리랑은 근대에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 오랜 시기를 거치며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기도 하고 때로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오랜 기간 우리의 삶과 함께하고 있는 민요로서의 가치는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다.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혼과 정서를 담아내고 있는 문학 그 자체로서 앞으로도 그 가치가 인정받고 보전 및 계승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또한 우리나라를 넘어 세계 속에서도 아리랑이 빛을 볼 수 있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 강평원(2004). 아리랑 시원지를 찾아서. 청어
- 김기현(2018). 아리랑과 지역문화. 민속원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8.13
  • 저작시기201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83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