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아리랑 변천사][아리랑 어원][정선아리랑][진도아리랑][밀양아리랑]아리랑의 변천사와 아리랑의 어원 및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의 비교 분석(아리랑,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리랑][아리랑 변천사][아리랑 어원][정선아리랑][진도아리랑][밀양아리랑]아리랑의 변천사와 아리랑의 어원 및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의 비교 분석(아리랑,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아리랑의 변천사

Ⅲ. 아리랑의 어원
1. 김지연의 알영설
2. 김재수의 아랑설
3. 김덕장의 아이랑 설
4. 남도산의 아이롱 설
5. 강대호의 아난리 설
6. 권상노의 아이롱 설
7. 일본인 학자의 아미일영 설
8. 이능화의 아랑위 설
9. 양주동의 아리령 설
10. 이병도의 낙랑 설
11. 최재억의 알랑 설

Ⅳ. 정선아리랑,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의 비교
1. 정선아리랑
2. 진도 아리랑
3. 밀양 아리랑
4. 정선, 진도, 밀양 아리랑의 비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났네
.아리랑 어절씨구 잘 넘어간다
3. 아리당닥 쓰리당닥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어절씨구 잘 넘어간다
4. 정선, 진도, 밀양 아리랑의 비교
정선 아리랑과 진도 아리랑 그리고 밀양 아리랑 등 3대 아리랑을 전통 아리랑으로 잡을 경우 그 가운데서도 정선 아리랑은 메나리토리의 밀착성이 짙어서, 주어진 지역 민요의 음악적 어법의 기층성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그것은 정선 아리랑이 민요적 지역성과 전통성을 으뜸으로 간직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달리 말하면 정선 아리랑은 짙은 민요적 원형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선 아리랑은 진도 아리랑이나 밀양 아리랑과 비교하여 볼 때 느리고 단조롭게 불린다. 그것은 이들보다 장식음이 발달되어 있지 않고 최고음과 최저음의 차이가 적어 선율의 변화가 크지않기 때문이다. 진도 아리랑이 흥청거리고 신명나며 기교성이 뛰어나다면, 밀양 아리랑은 무뚝뚝하고 남성적이다. 이에 비하여 정선 아리랑은 잔잔한 흐름 속에 소박하면서도 여인의 한숨과같은 서글픔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음악적 경지가 매우 높은 민요의 백미로 손꼽힌다. 정선 아리랑의 순서는 일정하지 않으나 장단이 느린 아라리를 먼저 부른 다음 빠른 가락의 엮음 아라리를 부르며, 가창 방식은 주로 혼자 부르는 독창의 경우가 많으나 여럿이 부를 때에는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부르기도 한다. 가락이 늘어지고 애조를 띠고 있는 비음이 많다. 이번에는 진도 아리랑을 살펴보면, 아리랑 중에서도 가장 손꼽히는 아리랑으로 아리랑의 대표격이라고도 할 수 있다.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빠른 템포로 노래하여 흥겨운 느낌을 준다. 부녀자들의 유희요적 성격이 강한 서정 민요이다. 일반적으로 중모리 장단으로 부르나 때에 따라서는 느린 박자인 진양조나 중모리보다 약간 빠른 중중모리로 부를 수도 있다. 진도 아리랑은 정선 아리랑이 지니고 있는 비탄조와는 달리 육자배기토리의 가락에 판소리의 구성진 목청이 어우러진 진도 지방 특유의 맛을 지니고 있다. 혼자 부를 때에는 유장하고 슬픈 노래가 되어 신세 타령과 같은 표출 기능이 두드러지지만, 노래판에서 여럿이 부를 때에는 빠르고 흥겨운 노래로 신명을 고양시키고 일체감을 강화시키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경상도 지방의 대표적인 통속 민요의 하나인 밀양 아리랑은 경상남도 밀양에서 발생된 노래라고하나 지금은 전국적으로 불린다. 밀양 아리랑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옛날 밀양부사 이모(李某)에게 아랑(阿娘)이라는 딸이 있었다. 자태가 곱고 인덕이 아름다워 많은 사람들이 부러워하고 사모하였다. 그때 관아에서 일하던 젊은이가 아랑을 본 뒤 사모함을 억제하지 못하고 아랑의 침모(針母)로 하여금 아랑을 유인하도록 하였다. 아랑은 침모의 권유로 달구경을 가서 한참 달을 보는데, 침모는 간 데 없고 젊은 사나이가 간곡히 사랑을 고백했다. 그러나 아랑은 차갑게 거절을 하자 사나이의 연정이 증오로 변해 비수로 아랑을 살해하고 숲속에 묻어버렸다. 지금 전하는 밀양 아리랑은 그때 밀양의 부녀자들이 아랑의 정절을 사모하여 아랑 아랑하고 불러 이것이 오늘날의 민요 아리랑으로 발전하였다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정선 아리랑, 진도 아리랑, 밀양 아리랑을 개괄적으로 정리해 보았는데 각각의 비교 근거는 아리랑의 이중구조, 5단계 역할 변화(노래 본래적 의미→종교·제의적 의미→노동요로써의 의미→정치·사회성을 반영한 의미→국민 가요로써의 의미)에 입각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리랑을 분석할 때, 기능적인 면, 문학적인 면, 민속적인 면등으로도 접근할 수 있지만 내재 형식, 변화 요인, 역할 등에 따른 고찰도 필요한 것이다. 아리랑의 이중 구조는 바로 아리랑의 내재 형식이며, 고정 부분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의 고찰은 곧 앞에서 제시한 5단계 변화 과정이다. 이 두 개의 사고 근거는 최소한 어떤 아리랑이 무슨 성격을 띠고 있는가, 그것이 원시적인 것인가, 근원적으로 따질 때 그것이 아류인가 아니면 전통적인가 등에 대해 어느 정도의 설명이 가능하다고 본다.
참고문헌
▷ 강등학(1998), 한국민요의 현장과 장르론적 관심, 집문당
▷ 기연갑(1998), 아리랑, 집문당
▷ 김연갑(1986), 민족의 숨결, 그리고 발자국 소리, 아리랑, 현대문예사
▷ 무학(1995), 아리랑 -우리정서, 우리문화-, 서문문화사
▷ 문동환(1985), 아리랑 고개의 교육, 한국 신학 연구소
▷ 신경림(1992), 강 따라 아리랑 찾아, 문이당
▷ 임동권(1980), 한국의 민요, 일지사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3.2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57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