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영성의 흐름과 방향성 : 1세대, 2세대 신학자 중심으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교회 영성의 흐름과 방향성 : 1세대, 2세대 신학자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영성이란?
3. 영성의 한국교회사적 의미
4. 한국교회 영성사의 흐름과 배경
5. 1세대 신앙인의 영성
6. 2세대 신앙인의 영성
7. 한국교회 영성의 방향성
8. 나가는 말
9.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고 궁극적으로 닮아가는 삶을 사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교회는 건강한 영성의 유전자를 소지하고 있다. 영적 체험과 확신에 찬 신앙이 결코 개인구원의 외곬이나 편협한 이기주의에 빠져 사회적 책무에는 소홀한 피안으로 빠지지 않았던 역사적 전통이 감지된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한국교회는 왜곡된 영성의 이해로 수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으며, 세상에 빛이 되어야할 교회가 세상을 멍들어가게 하고 있는 것이다. 첫째로는 영성이 교회성장의 도구화로 전락했다는 것이다. 근래 다양한 영성 세미나들은 거의 대부분 성장, 부흥 등의 자극적 문구즐을 내걸고 있다. 궁극적으로 영성 훈련은 성도들의 신앙의 질적 성숙을 돕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영성을 90년대 이후 주춤한 교회성장의 새로운 돌파구로 이해하고 있는 성장 중심적 사고는 올바른 영성 훈련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교회의 본질을 위태롭게 하는 매우 치명적인 위험이다.
둘째는 영성의 핵심에 대해서 접근하지 못하고 방법에 대해 집착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관상기도는 어떤 기도의 방법이나 테크닉이라기보다는 하나님과 동행하는 관상적인 삶 자체에 초점을 맞춘 영성 훈련법인데 한국교회는 이것을 기도의 어떤 높은 수준에 도달하는 방법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유해룡, 『하나님 체험과 영성수련』(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 1999), ‘제3장 기도와 영성형성’.
또한 QT의 예를 들어보더라도 말씀을 말씀 그대로 묵상하고 경험하는 것보다는 관찰-해석-적용의 귀납적 방법을 통해 어떻게든 적용점을 도출해내는데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영성의 본질이 아닌 방법론이나 기술에 대한 그릇된 집착이 야기하는 위험이다.
셋째는 성경이 말하고 있는 바 통전적 영성을 확립하지 못한 채 이원론적인 사고에 기반한 신비적 영성을 추구한다는 점이다. 성경은 성과 속, 교회와 세상, 하늘과 땅을 구분한 영성을 말하지 않는다. 따라서 올바른 영성은 결코 신비적이지 않으며 인간의 삶의 자리 전반에 통전적이고 균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한국교회의 영성은 지극히 이원론적인 사고에 기반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성령 운동과 접목되어 있는 영성 운동의 흐름은 성령의 초자연적 역사와 은사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균형 감각을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영성에 대한 오늘날 한국교회의 이상기류는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한국교회 영성운동사의 건강한 내재적 유전자를 토대로 두 가지 측면에서 영성운동의 새로운 지평을 위한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성이 제시된다.
첫째, 지나친 세속적 신앙과 사변적 신앙 개념으로부터의 회귀를 촉구하는 측면이다. 물질주의, 성장위주, 현세적 축복, 지나친 자본주의적 논리에 침윤 당하고 있는 오늘날의 한국교회와 기독교 신앙 또 한편으로는 지나친 지성추구, 사변적 신학운동에 몰입되어 영적 각성을 상실한 한국 교회의 위기국면에 대해 순전(純全)한 영성 체험의 중요성을 제기하는 모습이다.
둘째, 지나친 개인적 구원과 몰역사적 신비체험으로부터의 회복을 촉구하는 측면이다. 만연된 둔세적 기도원운동, 사회적 책무에 반하는 반선 교적 행태, 신학적 균형감각의 상실, 역사적 신앙체험의 보편성을 상실하여 개별체험의 난행으로 점철되어 있는 한국교회의 또 다른 위기국면에 대해서도 역사의식의 책임성을 강조하는 모습이다. 이들 한국교회 영성사에서 발견되는 균형적 영성 신앙의 사례는 한국 교회 미래적 지평을 제시하는 가장 중요한 방향성의 하나가 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8. 나가는 말
지금까지 영성이라면 기도에 관한 부분으로 주로 기도원이나 어느 특별한 장소에서만 그것도 신비적인 부분을 포함한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한국교회 신앙선진의 모습을 통해서 영성이 우리의 신앙적인 부분만이 아닌 우리의 삶 전체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영성이란 성령의 은사체험과 같은 특수체험에 국한되지 않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전체성, 스타일, 지향성에 관계되는 것”으며, 앞서 이수정이 말했던 \'신인상응지리\' (神人相應之理)의 삶을 사는 모습이 진정한 영성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전적인 인간이 생명의 근원이신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 생명 속에 동참하 면서 그분의 삶을 오늘의 상황 속에서 재현해 나가는 ‘제자의 길’, ‘그리스도의 닮음’, ‘따름’이며 예수를 내 생명 속에서 ‘연출해 내는 삶’” 즉 오늘 이 땅 위의 삶속에서 구현해가는 예수의 제자로서 기독자의 삶 전반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본다. 협성신학연구소편, 『기독교신학과 영성』(서울:도서출판솔로몬, 1995), 41-43.
오늘 공부를 통해 배운 것은 참된 영성이란 어떠한 답이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현재의 삶의 상황 가운데 하나님의 자녀로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며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질적인 삶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하나님을 완전히 기쁘시게 하고 영화롭게 해드린 유일한 분은 예수 그리스도 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 인간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해드리기 위해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수밖에 없을 것이다. 김상복, 『참된 영성이란 무엇인가?』(서울:도서출판횃불, 1994), 10-14.
필자 또한 예수그리스도의 길을 걸어갔던 한국교회 신앙선진들처럼 예수의 발자국을 따라 한걸음 한걸음 내딛을 수 있길 소망해보며 본 보고서를 정리하고자 한다.
9. 참고문헌
1) 국내서적
김상복. 『참된 영성이란 무엇인가?』. 서울:도서출판횃불, 1994.
김홍기. 『웨슬리 신학의 재발견』. 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3.
유해룡. 『하나님 체험과 영성수련』.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 1999.
이덕주. 『신학과 세계 6 “초기한국교회 토착신학영성”』. 서울:감리교신학대학교, 2005.
이덕주. 『한국교회 처음이야기』. 서울:홍성사, 2007.
협성신학연구소편. 『기독교신학과 영성』. 서울:도서출판솔로몬, 1995.
홍성주. 『21C 영성신학』. 서울:은성출판사, 1995.
2) 번역서적
조던오먼. 이홍근옮김. 『영성신학』. 서울:분도출판사, 1994.
3) 기타 참고자료
이덕주 엮음. 『영성으로 신학하기』. 감리교신학대학교 수업자료, 2007.
2007 한국 기독교 영성 운동사 수업필기 내용 및 토론 내용
  • 가격2,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0.06.25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2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