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문헌고찰
II. 본론
1. 간호사정
2. 진단검사
3. 투여약물
III. 결론
1. 간호사정
2. 실습소감
3.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문헌고찰
II. 본론
1. 간호사정
2. 진단검사
3. 투여약물
III. 결론
1. 간호사정
2. 실습소감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킬레스 건 파열(injury of Achilles tendon)환자의 증상완화를 목적으로 두고 있다.
2. 문헌고찰
1) 정의
아킬레스건 파열(injury of Achilles tendon)이란?
발목 뒤에서 굵은 힘줄을 만질 수 있는데 이것이 아킬레스 건이며 이부분이 끊어지는 것이 아킬레스건 파열이다.
운동을 하다가 발을 잘못 디뎠거나 뛰어 올랐다가 착지를 잘못하거나 했을 때 생기기 쉬우며, 이 같은 동작은 대부분 흔히 배구나 축구에서 일어난다.
2) 원인
운동을 하다가 발을 헛딛거나 뛰어올랐다가 착지를 잘못하거나 했을 때 생기기 쉬우며 이 같은 동작은 대부분 흔히 배구나 축구에서 일어난다. 즉 무릎을 펴서 전족 (발 앞부분)으로 체중을 지탱하면서 발을 지면에서 뗄 때, 발목이 갑작스레 예기치 않은 신전 (발목을 위로 젖힘)될때, 그리고 높은 곳에서 착지하면서 족저굴곡된(발목이 펴진 상태)발목이 강제로 족배굴곡 (발목이 위로 젖혀짐)될 때 파열될 수 있고 그 외 직접 손상으로 파열될 수 있다. 그 외 병적 요인이나 생리적 변화가 있어 자연 파열되기도 한다.
3) 병태생리
아킬레스 건은 우리 몸에서 가장 튼튼하고 가장 큰 건 중의 하나이며 건 손상은 그리 흔하지 않지만 가장 잘 끊어지는 건 중의 하나이기도 한다. 아킬레스 건은 양측 대퇴골 내외과 후면에서 각각 한 개씩 두 개의 비복근(내측 및 외측)과 하퇴골 후면 가자미근에서 3개의 건이 모여 공통 건을 이뤄 발뒤꿈치의 종골 후면상방에 붙어서 형성된다. 즉 세 개의 근육이 건으로 이행되는 연결부에서 종골에 부착되는 부위까지를 말한다. 그 기능은 족근 관절을 강하게 족저굴곡 시키고, 인체를 들어 올리고,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 부위 중에서 비교적 혈류가 적은 부위에서 종골 부착부 상방 2-6cm부분에서 파열이 잘 일어난다.
4) 증상
건손상 부위는 나이가 많은 환자는 근육과 건의 이행 부위에서 잘 파열되고 젊은 사람들에서는 종골 위의 저혈부위에서 잘 파열된다. 또 근육 부위에서 근육의 부분파열이 일어 날 수 있다. 아킬레스건에 갑자기 동통이 생겨 잘 살펴보면 단열된 부분이 부자연스러운 모양으로 오목해져 있다. 아킬레스건이 끊어졌을 때 끊어지는소리 ‘뻑’하는 들리는 수도 있다. 보통은 보행을 할 수 있어도 발끝으로 설 수 없게 되는 것이 이 병의 특징이다
그 외 급성 소견으로는 파열 시 그 부위에서 소리,통증을 느낀다든가, 종창, 족지 보행의 불가능이 있고, 결손부위의 함몰을 촉진 할 수 있다.
5) 검사와 진단
- 검사
톰슨(Thomson)검사
종아리 근육을 손바닥으로 쥘 때, 아킬레스건의 연속성이 있으며 족근관절을 굴곡한다.
그러나 건 파열 시는 굴곡 되지 않고 발목이나 발가락이 움직이지 않는다.
단순방사선 측면 소견상
아킬레스건,종골 및 장족지 굴건의 카거(Kager)삼각이 변형내지 소실 됨을 발견할 수 있다.
- 진단
톰슨(Thomson)검사 종아리 근육을 손바닥으로 쥘 때, 아킬레스건의 연속성이 있으며 족근관절을 굴곡한다. 그러나 건 파열 시는 굴곡 되지 않고 발목이나 발가락이 움직이지 않는다. 이런 소견들을 통해서도 진단을 내릴 수 있고 이 외에도 파열 부분의 함몰된 틈을 직접 만져보아서 진단 할 수도 있다. 검사 소견 중 단순방사선 측면 소견상 아킬레스건,종골 및 장족지 굴건의 카거(Kager)삼각이 변형내지 소실 됨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임상적 진단 방법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하다. 초음파 및 MRI 검사상 파열된 사이의 틈이 어느 정도 인지를 알아보면 도움이 된다.
6)치료
일반적으로 대사장애(말초혈관장애, 하지부종, 피부괴사, 당뇨)가 없다면 아킬레스건 파열후 비수술적 치료보다는 수술 적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급성 아킬레스건 손상일 경우 48시간 이내에 수술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반면 만성 아킬레스건 손상일 경우는 1차적 봉합술 보다는 다른 사람인대를 사용하는 재건술을 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 아킬레스건 봉합은 약 30분 정도 시간이 소요되며 수술 후 반기브스(Splint)를 4~6주정도 착용 해야 한다.. 고정 후에는 발목 관절운동을 시행하게 되는데 목표는 정상적인 발목 각도가 나올 때 까지 하게 된다. 발목 관절운동과 함께 몇 주간의 고정으로 인한 근 손실을 보완하기 위에 뒤쪽 종아리 근육과 앞쪽 정경골근(Tibialis anterior)의 근력 운동을 시행하게 된다. 아킬레스 건 파열에 대한 치료방법에는 수술적인 방법과 비수술적인 방법이 있는데 각각 장단점이 있는데 먼저 수술적 방법으로는 개방적 봉합술과 경피적봉합술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중 개방적 봉합술은 파열부를 정확히 봉합하여 재파열의 빈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큰 절개에 따른 감염이나 창상 치유등이 단점이다. 이에 감염이나 창상 치유 문제 등을 줄일수 있는 경피적 봉합술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이 수술식은 파열부분을 직접 관찰할 수 없으므로 비복신경 손상이나 재파열의 빈도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비수술적인 방법은 파열된 힘중의 끝이 서로 근접해 있지 않고 벌어진 상태에서 치유되어 근력이 약해질 가능성이 있고, 재파열의 빈도가 높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치료 방법의 선택시 환자의 특성 및 술자의 경험,각 치료 방법의 장단점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7) 간호
아킬레스 건 봉합 후 일반적으로 4~6주정도 고정을 하게 된다. 고정 후에는 발목 관절운동을 시행하게 되는데 목표는 정상적인 발목 각도가 나올 때 까지 하게 된다.
발목 관절운동과 함께 몇 주간의 고정으로 인한 근 손실을 보완하기 위에 뒤쪽 종아리 근육과 앞쪽 정경골근(Tibialis anterior)의 근력 운동을 시행하게 된다. 일상생활은 3개월 이후부터 가능하고 스포츠 활동은 6~8개월 이후에 가능하다.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를 투여한다.
아킬레스 스트레칭은 가장 간단한 방법이고 가장 좋은 스트레칭이다. 계단, 연단의 끝부분 또는 사다리 낮은 단에 발바닥 앞부분이 닿은 채 양 다리를 곧게 편 상태로 일어선다. 양 뒤꿈치를 아래로 내리고 10초동안 정지한다. 스트레칭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한쪽 발은 수평으로 유지하고 반대쪽 발 뒤
2. 문헌고찰
1) 정의
아킬레스건 파열(injury of Achilles tendon)이란?
발목 뒤에서 굵은 힘줄을 만질 수 있는데 이것이 아킬레스 건이며 이부분이 끊어지는 것이 아킬레스건 파열이다.
운동을 하다가 발을 잘못 디뎠거나 뛰어 올랐다가 착지를 잘못하거나 했을 때 생기기 쉬우며, 이 같은 동작은 대부분 흔히 배구나 축구에서 일어난다.
2) 원인
운동을 하다가 발을 헛딛거나 뛰어올랐다가 착지를 잘못하거나 했을 때 생기기 쉬우며 이 같은 동작은 대부분 흔히 배구나 축구에서 일어난다. 즉 무릎을 펴서 전족 (발 앞부분)으로 체중을 지탱하면서 발을 지면에서 뗄 때, 발목이 갑작스레 예기치 않은 신전 (발목을 위로 젖힘)될때, 그리고 높은 곳에서 착지하면서 족저굴곡된(발목이 펴진 상태)발목이 강제로 족배굴곡 (발목이 위로 젖혀짐)될 때 파열될 수 있고 그 외 직접 손상으로 파열될 수 있다. 그 외 병적 요인이나 생리적 변화가 있어 자연 파열되기도 한다.
3) 병태생리
아킬레스 건은 우리 몸에서 가장 튼튼하고 가장 큰 건 중의 하나이며 건 손상은 그리 흔하지 않지만 가장 잘 끊어지는 건 중의 하나이기도 한다. 아킬레스 건은 양측 대퇴골 내외과 후면에서 각각 한 개씩 두 개의 비복근(내측 및 외측)과 하퇴골 후면 가자미근에서 3개의 건이 모여 공통 건을 이뤄 발뒤꿈치의 종골 후면상방에 붙어서 형성된다. 즉 세 개의 근육이 건으로 이행되는 연결부에서 종골에 부착되는 부위까지를 말한다. 그 기능은 족근 관절을 강하게 족저굴곡 시키고, 인체를 들어 올리고,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 부위 중에서 비교적 혈류가 적은 부위에서 종골 부착부 상방 2-6cm부분에서 파열이 잘 일어난다.
4) 증상
건손상 부위는 나이가 많은 환자는 근육과 건의 이행 부위에서 잘 파열되고 젊은 사람들에서는 종골 위의 저혈부위에서 잘 파열된다. 또 근육 부위에서 근육의 부분파열이 일어 날 수 있다. 아킬레스건에 갑자기 동통이 생겨 잘 살펴보면 단열된 부분이 부자연스러운 모양으로 오목해져 있다. 아킬레스건이 끊어졌을 때 끊어지는소리 ‘뻑’하는 들리는 수도 있다. 보통은 보행을 할 수 있어도 발끝으로 설 수 없게 되는 것이 이 병의 특징이다
그 외 급성 소견으로는 파열 시 그 부위에서 소리,통증을 느낀다든가, 종창, 족지 보행의 불가능이 있고, 결손부위의 함몰을 촉진 할 수 있다.
5) 검사와 진단
- 검사
톰슨(Thomson)검사
종아리 근육을 손바닥으로 쥘 때, 아킬레스건의 연속성이 있으며 족근관절을 굴곡한다.
그러나 건 파열 시는 굴곡 되지 않고 발목이나 발가락이 움직이지 않는다.
단순방사선 측면 소견상
아킬레스건,종골 및 장족지 굴건의 카거(Kager)삼각이 변형내지 소실 됨을 발견할 수 있다.
- 진단
톰슨(Thomson)검사 종아리 근육을 손바닥으로 쥘 때, 아킬레스건의 연속성이 있으며 족근관절을 굴곡한다. 그러나 건 파열 시는 굴곡 되지 않고 발목이나 발가락이 움직이지 않는다. 이런 소견들을 통해서도 진단을 내릴 수 있고 이 외에도 파열 부분의 함몰된 틈을 직접 만져보아서 진단 할 수도 있다. 검사 소견 중 단순방사선 측면 소견상 아킬레스건,종골 및 장족지 굴건의 카거(Kager)삼각이 변형내지 소실 됨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임상적 진단 방법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하다. 초음파 및 MRI 검사상 파열된 사이의 틈이 어느 정도 인지를 알아보면 도움이 된다.
6)치료
일반적으로 대사장애(말초혈관장애, 하지부종, 피부괴사, 당뇨)가 없다면 아킬레스건 파열후 비수술적 치료보다는 수술 적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급성 아킬레스건 손상일 경우 48시간 이내에 수술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반면 만성 아킬레스건 손상일 경우는 1차적 봉합술 보다는 다른 사람인대를 사용하는 재건술을 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 아킬레스건 봉합은 약 30분 정도 시간이 소요되며 수술 후 반기브스(Splint)를 4~6주정도 착용 해야 한다.. 고정 후에는 발목 관절운동을 시행하게 되는데 목표는 정상적인 발목 각도가 나올 때 까지 하게 된다. 발목 관절운동과 함께 몇 주간의 고정으로 인한 근 손실을 보완하기 위에 뒤쪽 종아리 근육과 앞쪽 정경골근(Tibialis anterior)의 근력 운동을 시행하게 된다. 아킬레스 건 파열에 대한 치료방법에는 수술적인 방법과 비수술적인 방법이 있는데 각각 장단점이 있는데 먼저 수술적 방법으로는 개방적 봉합술과 경피적봉합술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중 개방적 봉합술은 파열부를 정확히 봉합하여 재파열의 빈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큰 절개에 따른 감염이나 창상 치유등이 단점이다. 이에 감염이나 창상 치유 문제 등을 줄일수 있는 경피적 봉합술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이 수술식은 파열부분을 직접 관찰할 수 없으므로 비복신경 손상이나 재파열의 빈도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비수술적인 방법은 파열된 힘중의 끝이 서로 근접해 있지 않고 벌어진 상태에서 치유되어 근력이 약해질 가능성이 있고, 재파열의 빈도가 높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치료 방법의 선택시 환자의 특성 및 술자의 경험,각 치료 방법의 장단점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7) 간호
아킬레스 건 봉합 후 일반적으로 4~6주정도 고정을 하게 된다. 고정 후에는 발목 관절운동을 시행하게 되는데 목표는 정상적인 발목 각도가 나올 때 까지 하게 된다.
발목 관절운동과 함께 몇 주간의 고정으로 인한 근 손실을 보완하기 위에 뒤쪽 종아리 근육과 앞쪽 정경골근(Tibialis anterior)의 근력 운동을 시행하게 된다. 일상생활은 3개월 이후부터 가능하고 스포츠 활동은 6~8개월 이후에 가능하다.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를 투여한다.
아킬레스 스트레칭은 가장 간단한 방법이고 가장 좋은 스트레칭이다. 계단, 연단의 끝부분 또는 사다리 낮은 단에 발바닥 앞부분이 닿은 채 양 다리를 곧게 편 상태로 일어선다. 양 뒤꿈치를 아래로 내리고 10초동안 정지한다. 스트레칭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한쪽 발은 수평으로 유지하고 반대쪽 발 뒤
추천자료
화순전남대학교병원 63병동 뇌종양(Braintumor) Case, 5가지 간호진단과 3가지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실습, 정형외과,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회전근개 파열 (Rotator Cuff Tear) ...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Sequelae of intracerebral haemorrhage뇌내출혈의 후유증케이스...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chronic renal failure 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3개 ...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Fracture of base of neck of femur 대퇴골 경부 바닥의 골절 케...
A+ 직장암 Rectal cancer 케이스 스터디 (문헌고찰 직장암 사례연구 직장암 간호과정 직장암 ...
A+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colles fracture, 골절,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5개, 간호중...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myocadial infaction, 심근경색,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5개...
소개글